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은 국내 육성 골드키위의 수출 확대를 위해 전문단지를 육성하고, 수출경쟁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기술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제주산 키위 수출량은 2021년 152톤에서 2024년 269톤으로 77% 증가했다. 국내 전체 수출량의 59%를 차지한다. 철저한 품질 관리와 검역 기준 충족 등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으로 품질 경쟁력이 높아진 결과다. 주요 수출대상국 소비자들이 당도 높은 골드키위를 선호하면서 제주도는 골드키위 비중을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 농업기술원은 통합 지원체계를 구축해 골드키위 품종별 수출전문단지와 전문농가를 육성해 제주산 국내 육성 골드키위 수출량을 2024년 178톤에서 2028년 400톤까지 늘릴 계획이다. 성산일출봉농협을 중심으로 신품종 ‘감황’ 수출단지를 조성하고, 품질 향상을 위한 재배관리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 통용 기준인 ‘글로벌 갭(Global GAP)’ 인증을 취득해 수출 안정성과 신뢰성도 강화했다. 한라골드영농조합법인과 협력해 ‘스위트골드’ 수출전문농가에 재배기술, 현장 컨설팅, 검역관리를 지원하며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아울러 농림축산검역본부, 농촌진흥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은 농업미생물 공급 신청 농가가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농업미생물 활용방법 교육을 온라인 강좌로 운영한다. 농업미생물 공급 신청 농가는 농업기술원(농업기술센터)에서 실시하는 미생물 활용교육을 격년으로 2시간 이상 이수해야 하며 교육 미이수 시 미생물 공급이 제한된다. 2022년에는 코로나19로 집합교육을 실시하지 못했기 때문에 올해 미생물 공급을 신청한 농가는 모두 의무교육 이수 대상에 해당되므로 반드시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이에 농업기술원은 집합교육뿐만 아니라 농업인의 영농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시·공간의 제약 없이 의무교육을 이수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과정을 마련했다. 농업기술원은 2022년 5만 3,889 농가에 426톤의 농업미생물 5종을 무상 공급해 농가 경영비 절감과 함께 지속가능한 친환경 농업생산 기반 조성에 이바지했다. 농업미생물은 토양의 물리·화학적 환경을 개선하고 작물에 유익한 성분을 분비해 생육촉진, 병해충 예방, 수량증대, 품질향상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사용할 때는 300~500배 희석해 토양관주 또는 엽면시비하고, 장기간 살포해 토양 유기물 내 정착 증식할 수 있도록 적정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