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평균 쌀 가격은 17만 3천원(80kg) 내외로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최세균)이 최근 농업전망 발표자료에서 2014양곡년도 평균 쌀 가격은 전년보다 1.2% 내외 하락한 17만 3천원/80kg 수준으로 전망했다.2014년산 벼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0.2% 감소한 83만 1천ha, 단수를 493∼ 509kg/10a으로 적용한 쌀 생산량은 410만 1천 톤∼422만 6천 톤으로 분석됐다. 2014년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5.3% 상승한 kg당 13,420원으로 전망되며, 돼지고기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7.9% 상승한 kg당 3,883원으로 전망했다.2014년 한육우 사육 마리수는 전년 대비 4.9% 감소한 277만 마리로 전망된다. ‘14년부터 송아지 가격 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이후 번식의향이 높아져 ‘17년을 저점으로 사육 마릿수가 증가세로 전환되어 한우가격 상승 폭은 둔화될 것이라는 예상이다.돼지 사육 마리수는 모돈수 감축 영향으로 전년 대비 7.3% 감소한 연평균 935만 마리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2014년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7.9% 상승한 kg당 3,883원으로 분석했다. 2014년산 과일 가격은 사과, 배
토마토‧호박 정식은 늘고, 풋고추는 감소풋고추, 호남 및 영남면적 증가하여 출하량 4% 많을 듯오이, 출하량 백다다기 작년과 비슷, 취청은 적을 듯가격 10월보다 높겠으나 작년보다는 낮을 전망▶일반토마토= 11월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2% 확대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11월 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작년보다 5%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12월 정식면적은 작년보다 각각 4%, 2% 확대될 것으로 조사되었다.영남(부산, 경주)지역에서 품목전환 및 신규시설면적 증가로 재배면적이 작년보다 확대될 것으로 나타났다.▶방울토마토= 방울토마토(원형, 대추형) 11월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3% 확대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방울토마토 11월 단수는 작년보다 5% 많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충청 및 호남은 태풍 피해로 인해 병해 발병이 많았던 작년보다 작황이 좋을 것으로 전망된다. 방울토마토 11월 출하량은 출하면적 확대와 단수 증가로 작년보다 8%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량이 작년보다 많아 원형 방울토마토 11월 평균도매가격(가락시장)은 작년(상품 5kg에 1만 5,500원)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수박= 11∼12월의 수박 정식면적은 작년보다 소폭 확대될 것으
c축산관측......1월돼지값 동향과 전망∼2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도축 마릿수 감소로 전년 동기보다 3% 적을 전망공급량이 감소하여 1월 지육가격은 탕박 기준 3,500∼3,700원/kg, 2월은 3,400∼3,600원/kg으로 전년 동월보다 높을 전망 3∼4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월보다 8% 감소 전망공급량 감소로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높지만 평년보다는 낮은 3,900∼4,200원/kg 전망모돈 감축으로 3월 사육 마릿수는 910∼930만 마리 전망 5∼6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도축 마릿수 감소로 전년 동기보다 9% 감소 전망5월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높은 4,400원/kg 내외, 6월은 4,600원/kg 이상 전망모돈수 감소로 6월 사육 마릿수는 920∼940만 마리 전망 겨울철 PED 피해 방지 위해 철저한 차단방역 강화 필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자돈 생산 마릿수 감소와 도축 마릿수 증가로 2013년 12월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기보다 1∼2% 감소한 970∼980만 마리로 추정된다. 12월 모돈수는 후보돈 입식 증가로 9월보다 증가한 91만 마리 내외로 추정된다. 11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54만 2천 톤으로 전년 동월보다 1.1%
축산관측.......1월 육계관측비축물량 감소로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전년 대비 9.5% 감소 전망육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1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보다 3.1% 증가 전망1월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보다 24.8% 감소한 9,490톤 전망부정육 단속과 비축의향 저하로 비축물량은 전년 대비 65.9% 감소 1∼3월 닭고기 수요 전년 대비 큰 변화 없을 듯수산물의 닭고기 대체효과는 점차 소멸될 것으로 예상내년 2월 동계 올림픽 개막으로 인한 닭고기 수요 증가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1월 육계 산지가격 전년 대비 상승, 2∼3월 산지가격 하락 전망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감소하고, 수요도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상승 전망2~3월 도계 마릿수는 증가하지만, 닭고기 수요증가는 크지 않아 2∼3월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한 1,500~1,700원/kg, 1,600~1,800원/kg 전망상반기 병아리 생산잠재력 지수 전년보다 높은 수준2013년 1∼11월 육용종계 도태 마릿수 전년 동기보다 19.3% 감소2014년 6월까지 병아리 생산잠재력 지수 1∼8% 높은 수준 육계 사육11월 육용 종계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대비 14.
한우 도매가 일시적 ‘강세’···10월 이후 ‘약세’송아지 증가로 한육우 사육수 전년보다 소폭 증가한 306만 마리 내년 2월까지 돼지고기 생산량 전년 동기보다 23% 많을 듯 젖소농가 연말기준 원유량 정상가격 환원에 대비 농가들 원유 생산의향 높아9~11월 오리 산지가격 6,500∼7,000원/3kg으로 전년대비 상승 산란계 사육 마리수 증가세 지속 전망돼지관측▶돼지 사육동향= 모돈수 회복과 재입식 농가가 늘어 6월 돼지 사육 마리수는 943만 마리였다. 6월 모돈수는 97만 마리로 FMD 발생 이전의 99.3% 수준까지 회복되었다.6월 돼지 사육 가구수는 6,525호로 전년 동월보다 9.6%, 전분기보다 1.3% 증가하였다. 6월 가구당 사육 마리수는 전년 동월보다 17.4%, 전분기보다 5.2% 증가한 1,446마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였다.사육 마리수 증가로 7월 배합사료는 전월보다 0.8% 증가한 45만 톤이 생산되었다. 이는 2010년 동월보다 2.8% 많은 수준이다. 모돈용 사료는 전월보다 5.2% 감소한 8만 8천 톤이 생산되었다. 이는 2010년 동월보다 8.4% 많은 수준이다. 20kg 이하 자돈용 사료 생산량은 13만 7천 톤으로 전월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