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전망대

3∼4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월보다 8% 감소 전망

2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도축 마릿수 감소로 전년 동기보다 3% 적을 전망

c축산관측......1월돼지값 동향과 전망

 

2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도축 마릿수 감소로 전년 동기보다 3% 적을 전망

공급량이 감소하여 1월 지육가격은 탕박 기준 3,5003,700/kg, 2월은 3,4003,600/kg으로 전년 동월보다 높을 전망

 

34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월보다 8% 감소 전망

공급량 감소로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높지만 평년보다는 낮은 3,9004,200/kg 전망

모돈 감축으로 3월 사육 마릿수는 910930만 마리 전망

 

56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도축 마릿수 감소로 전년 동기보다 9% 감소 전망

5월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높은 4,400/kg 내외, 6월은 4,600/kg 이상 전망

모돈수 감소로 6월 사육 마릿수는 920940만 마리 전망

 

겨울철 PED 피해 방지 위해 철저한 차단방역 강화 필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자돈 생산 마릿수 감소와 도축 마릿수 증가로 2013 12월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기보다 12% 감소한 970980만 마리로 추정된다. 12월 모돈수는 후보돈 입식 증가로 9월보다 증가한 91만 마리 내외로 추정된다.

11 배합료 생산량은 542천 톤으로 전년 동월보다 1.1% 증가하였지만, 전월보다 4.3% 감소하였. 모돈용 사료는 82,761톤으로 전년 동월보다 11.8%, 전월보다 2.2% 감소하였다.

20kg 이하 자돈용 사료 생산량은 151천 톤으로 전년 동월보다 0.5% 감소하였다. 육성용 사료는 전년 동월보다 6.6% 증가하였지만 전월보다 4.1% 감소한 264천 톤이 생산되었다.

지육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어 양돈농가의 2분기 사육의향이 1분기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표본농가 조사 결과).

모돈 감축의 영향으로 3월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8.010.0% 감소한 910930만 마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PED 발병 수준에 따라 전망치를 벗어날 수 있다.

모돈수 감소로 6월 사육 마릿수는 전년 6월보다 7.79.6% 감소한 920940 마리로 전망.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11월 등급판정 마릿수 1457,599마리로 전년 1441,383마리보다 1.1% 증가하였다.

1223까지 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6 5,100리로 전년 동기보다 8.1% 많았다.

11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는 163,069마리로 전년 동월 163,709마리보다 0.4% 감소하였.

12 23까지 평균 경락 릿수는 7,660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14.2% 많으며, 도매시장 출하 비중은 전년 동월보다 0.5%p 증가한 11.8%였다.

12월 비육돈 출하 일령은 전년보다 지연되고, 비육돈 출하 체중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육 마릿수 감소로 16월 도축 마릿수는 동기보다 6.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평년보다 9.1% 많은 수준이다.

등급 기준 개정에 따른 출하 체중 감소로 16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 6.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평년보다 10.0% 많은 수준이다.

11월까지 돼지고기 누적 수입량은 169,131톤으로 전년 동월 255,846톤보다 33.9% 감소하였.

11돼지고기 수입량은 1726톤으로 전월 9,708톤보다 10.9% 증가하였지만, 전년 동월보다 45.1% 감소하였. 국가별 수입비중은 미국 36.5%, 독일 10.9%, 칠레 8.5%, 폴란드 7.5% 순이었다.

12월 중순 현재 미국과 EU 돼지 지육가격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북미지역 지육격은 전년 동기에 비해 67% 높은 수준이다.

중국의 돼지고기 수입 증가로 국제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지만, 국내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여 16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보다 1.0% 증가 11 5내외가 될 것으전망된다.

도축 마릿수 증가로 11월 국산 돼지고기 재고가 전월보다 6.1%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산 돼지고기 재고는 당분간 증가세를 보이다 도축 마릿수가 크게 감소하5부터 다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생산량 감소16돼지고기 총 공급량은 동기보다 4.8% 감소하지만, 평년 동기보다 1.2%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 동향 및 전망

수산물 소비대체 및 김장철 특수로 12월 지육가격이 강세를 보였지만, 김장이 종료된 12월 중순 이후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되었다.

12123일 평균 지육가격은 탕박 기준 kg 4,050으로 전년 동월 3,282원보다 23.4% 높은 수준이다(전월 대비 2.9% 상승).

1지육가격은 생산량 감소로 총 공급량이 전년 동월보다 적어 탕박 기준 kg 3,5003,700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전년 동월 대비 16.623.2% 상승).

2월 지육가격은 총 공급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보다 18.025.0% 높은 kg 3,4003,600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3월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생산량 감소로 전 동월보다 상승한 kg 3,9004,100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

4월 지육가격은 기온 상승으로 나들이 수요가 늘어 3보다 소폭 높은 kg 4,0004,200원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5월 지육가격은 kg4,400원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6월 지육가격은 kg4,600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집 2014년 세계 양돈산업 전망(미국 농무부)

사료가격 인하와 수요 증가로 국제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보다 1% 증가한 1892만 톤 전망

중국은 생산비 하락과 정부의 지원으로 전년보다 2% 증가한 5,470만 톤 전망

EU는 도축 마릿수 감소하지만 도축체중 증가로 전년과 비슷한 2,245만 톤 전망

미국은 도축률과 도축체중 증가로 전년보다 3% 증가한 1,079만 톤 전망

브라질은 돼지 가격 상승과 사료비 인하로 전년보다 2% 증가한 344만 톤 전망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수입 증가로 국제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보다 2% 증가한 691만 톤 전망

러시아는 벨라루스산 돼지고기 수입 증가로 전년보다 3% 증가한 92만 톤 전망

멕시코는 육가공품 수요 증가 등 소비성향의 변화로 전년보다 2% 증가한 80만 톤 전망

중국은 국내 수요 증가로 전년보다 3% 증가한 78 톤 전망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