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전망대

비축물량 감소로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전년 대비 9.5% 감소 전망

육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1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보다 3.1% 증가 전망

<축산관측.......1월 육계관측>

비축물량 감소로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전년 대비 9.5% 감소 전망

육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1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보다 3.1% 증가 전망

1월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보다 24.8% 감소한 9,490톤 전망

부정육 단속과 비축의향 저하로 비축물량은 전년 대비 65.9% 감소

 

13월 닭고기 수요 전년 대비 큰 변화 없을 듯

수산물의 닭고기 대체효과는 점차 소멸될 것으로 예상

내년 2월 동계 올림픽 개막으로 인한 닭고기 수요 증가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

1월 육계 산지가격 전년 대비 상승, 23월 산지가격 하락 전망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감소하고, 수요도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상승 전망

23월 도계 마릿수는 증가하지만, 닭고기 수요증가는 크지 않아 23월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한 1,5001,700/kg, 1,6001,800/kg 전망

상반기 병아리 생산잠재력 지수 전년보다 높은 수준

2013111월 육용종계 도태 마릿수 전년 동기보다 19.3% 감소

20146월까지 병아리 생산잠재력 지수 18% 높은 수준

 

 

육계 사육

11월 육용 종계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대비 14.7% 증가한 23,082톤이었다.

11월 육용 종계 총 사육 마릿수는 798 마리로 추정된다.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는 육용종계 도태 마릿수 감소로 전년 동월보다 3.6% 증가한 405만 마리로 예상된다.

대한양계협회 자료를 이용하여 11월 병아리 발생률을 추정한 결과, 전년 동월보다 2.3%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용 종계 도태 지연과 환우로 노계계군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관측센터 육계 표본농가의 12월 육계 출하일령은 31.6일로 전년보다 앞당겨지고, 출하체중은 1.63kg으로 1.2%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종계 생산성이 폭염피해에서 회복되면서 병아리 폐사량은 전년보다 소폭(0.26%p) 감소하였다.

11월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12월 병아리 생산량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6,266만 마리로 추정된다.

병아리 생산은 증가하고, 폐사율이 감소하여 20141월 육계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3.2% 증가한 7,503만 마리로 전망된다.

 

닭고기 수급

1월 도계 마릿수는 사육 마릿수 증가로 전년 동월보다 3.1% 증가한 6,218만 마리로 전망된다.

11월 검사실적 기준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7,860톤이었다.

20141월 닭고기 수입량은 상대적으로 수입이 많았던 전년보다 24.8% 감소한 9,490톤으로 전망된다.

12부정육 단속으로 냉동 닭고기가 폐기되고 비축의향이 저하되어, 냉동비축 물량은 전년 동월보다 크게 감소하였다. 128일 기준 냉동 비축물량은 전년보다 65.9% 감소한 318만 마리이다.

도계 마릿수는 증가하였지만 닭고기 수입량과 비축물량이 크게 감소하여,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전년 대비 9.5% 감소한 7,770 마리로 전망된다(1페이지 하단 표 참조).

1월에도 수산물의 닭고기 대체수요는 전월보다는 감소하지만, 전년보다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부정육 단속으로 인한 국내산 닭고기 수요 증가요인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육계 가격

12닭고기 공급량이 전년보다 증가하였으나, 닭고기 수요가 증가하여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높은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

12(124) 육계 산지가격은 생체 kg1,682(농협발표가격 기준)으로 전년 동월(1,466)에 비해 14.8% 높은 수준이다.

12월 닭고기 소비자가격은 전년 동월(5,559) 대비 9.7% 상승한 6,097/kg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

20141월 닭고기 공급량이 감소하고, 닭고기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육계 생체 kg당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상승한 1,4001,600원으로 전망된다.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가 증가하고 생산성도 회복되어, 병아리 생산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12월 병아리 가격은 전월보다는 하락하였다. 그러나 전년에 비해서는 90.3% 높은 수준이다.

 

 

중기선행관측

201311월까지 육용종계 입식 마릿수는 전년 대비 1.6% 증가한 670만 마리였다. 동기간 육용종계 도태 마릿수는 전년 동기보다 19.3% 감소한 549만 마리였다.

육용종계 입식 마릿수는 증가하고 도태 마릿수는 감소하여, 병아리 생산잠재력 지수는 2014년 상반기까지 전년보다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병아리 생산잠재력 지수가 높아, 23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323 도계 마릿수는 각각 전년보다 증가한 5,004만 마리, 6,004만 마리로 전망된다.

23월에는 수산물 대체효과가 소멸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월 동계 올림픽 개막에 따른 닭고기 수요 증가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중앙자문회의 결과).

23 도계 마릿수 증가로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하여, 2월은 1224% 하락한 1,5001,700/kg, 3월은 1525% 하락한 1,6001,800/kg으로 전망된다.

 

 

2013(111) 육계 생산성 전년보다 향상

한국계육협회 회원사의 평균 생산지수를 비교해 본 결과, 2013년 육계 생산성은 전년 동기간보다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3(111) 평균 생산지수는 293.3으로 2012(284.0) 대비 3.3% 상승

11월 생산지수는 309.3으로 201211(308.3) 대비 0.3% 상승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