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전망대

비축물량 감소로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전년 대비 9.5% 감소 전망

육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1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보다 3.1% 증가 전망

<축산관측.......1월 육계관측>

비축물량 감소로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전년 대비 9.5% 감소 전망

육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1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보다 3.1% 증가 전망

1월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보다 24.8% 감소한 9,490톤 전망

부정육 단속과 비축의향 저하로 비축물량은 전년 대비 65.9% 감소

 

13월 닭고기 수요 전년 대비 큰 변화 없을 듯

수산물의 닭고기 대체효과는 점차 소멸될 것으로 예상

내년 2월 동계 올림픽 개막으로 인한 닭고기 수요 증가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

1월 육계 산지가격 전년 대비 상승, 23월 산지가격 하락 전망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감소하고, 수요도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상승 전망

23월 도계 마릿수는 증가하지만, 닭고기 수요증가는 크지 않아 23월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한 1,5001,700/kg, 1,6001,800/kg 전망

상반기 병아리 생산잠재력 지수 전년보다 높은 수준

2013111월 육용종계 도태 마릿수 전년 동기보다 19.3% 감소

20146월까지 병아리 생산잠재력 지수 18% 높은 수준

 

 

육계 사육

11월 육용 종계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대비 14.7% 증가한 23,082톤이었다.

11월 육용 종계 총 사육 마릿수는 798 마리로 추정된다.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는 육용종계 도태 마릿수 감소로 전년 동월보다 3.6% 증가한 405만 마리로 예상된다.

대한양계협회 자료를 이용하여 11월 병아리 발생률을 추정한 결과, 전년 동월보다 2.3%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용 종계 도태 지연과 환우로 노계계군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관측센터 육계 표본농가의 12월 육계 출하일령은 31.6일로 전년보다 앞당겨지고, 출하체중은 1.63kg으로 1.2%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종계 생산성이 폭염피해에서 회복되면서 병아리 폐사량은 전년보다 소폭(0.26%p) 감소하였다.

11월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12월 병아리 생산량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6,266만 마리로 추정된다.

병아리 생산은 증가하고, 폐사율이 감소하여 20141월 육계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3.2% 증가한 7,503만 마리로 전망된다.

 

닭고기 수급

1월 도계 마릿수는 사육 마릿수 증가로 전년 동월보다 3.1% 증가한 6,218만 마리로 전망된다.

11월 검사실적 기준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7,860톤이었다.

20141월 닭고기 수입량은 상대적으로 수입이 많았던 전년보다 24.8% 감소한 9,490톤으로 전망된다.

12부정육 단속으로 냉동 닭고기가 폐기되고 비축의향이 저하되어, 냉동비축 물량은 전년 동월보다 크게 감소하였다. 128일 기준 냉동 비축물량은 전년보다 65.9% 감소한 318만 마리이다.

도계 마릿수는 증가하였지만 닭고기 수입량과 비축물량이 크게 감소하여, 1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전년 대비 9.5% 감소한 7,770 마리로 전망된다(1페이지 하단 표 참조).

1월에도 수산물의 닭고기 대체수요는 전월보다는 감소하지만, 전년보다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부정육 단속으로 인한 국내산 닭고기 수요 증가요인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육계 가격

12닭고기 공급량이 전년보다 증가하였으나, 닭고기 수요가 증가하여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높은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

12(124) 육계 산지가격은 생체 kg1,682(농협발표가격 기준)으로 전년 동월(1,466)에 비해 14.8% 높은 수준이다.

12월 닭고기 소비자가격은 전년 동월(5,559) 대비 9.7% 상승한 6,097/kg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

20141월 닭고기 공급량이 감소하고, 닭고기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육계 생체 kg당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상승한 1,4001,600원으로 전망된다.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가 증가하고 생산성도 회복되어, 병아리 생산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12월 병아리 가격은 전월보다는 하락하였다. 그러나 전년에 비해서는 90.3% 높은 수준이다.

 

 

중기선행관측

201311월까지 육용종계 입식 마릿수는 전년 대비 1.6% 증가한 670만 마리였다. 동기간 육용종계 도태 마릿수는 전년 동기보다 19.3% 감소한 549만 마리였다.

육용종계 입식 마릿수는 증가하고 도태 마릿수는 감소하여, 병아리 생산잠재력 지수는 2014년 상반기까지 전년보다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병아리 생산잠재력 지수가 높아, 23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323 도계 마릿수는 각각 전년보다 증가한 5,004만 마리, 6,004만 마리로 전망된다.

23월에는 수산물 대체효과가 소멸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월 동계 올림픽 개막에 따른 닭고기 수요 증가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중앙자문회의 결과).

23 도계 마릿수 증가로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하여, 2월은 1224% 하락한 1,5001,700/kg, 3월은 1525% 하락한 1,6001,800/kg으로 전망된다.

 

 

2013(111) 육계 생산성 전년보다 향상

한국계육협회 회원사의 평균 생산지수를 비교해 본 결과, 2013년 육계 생산성은 전년 동기간보다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3(111) 평균 생산지수는 293.3으로 2012(284.0) 대비 3.3% 상승

11월 생산지수는 309.3으로 201211(308.3) 대비 0.3% 상승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