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소비자들이 식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대형 할인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래시장에서 식품을 구입한다는 응답 비중은 몇 년째 감소해 2019년에는 11.5%까지 하락했다(2018년 14.1%). 소비자들이 식품을 구입할 경우 2017년에는 ‘맛’과 ‘소포장’을 중시했다면, 2018년부터 2019년까지는 ‘가격’에 더욱 민감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6일 서울 aT센터에서 개최한 ‘2019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에서 나왔다. 이날 KREI의 이계임 박사 연구팀은 2019년도 우리나라 가구의 식품소비 및 외식행태와 식생활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2019 식품소비행태조사(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CBSF)는 가구 내 식품 주구입자(3,337가구), 성인(6,176명) 및 청소년 가구원(61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가구 및 개인의 식품소비 및 외식행태와 식생활 파악을 목적으로 2013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가구에서 식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대형 할인점(37.6%)’ 비중이 가장 높았고, ‘동네 중소형 슈퍼마켓’
현/장/중/계…농업전망대회 2019년 어떻게 분석하고 있나? 2019년 농축산물 수입 전년보다 증가하나, 수출 증가폭 더 클 것으로 전망 농축산물 수입액은 전년 대비 0.6% 증가한 275.8억 달러, 수출액은 2.2% 증가한 65.5억 달러 전망 단경기 쌀 가격 수확기보다 4.4% 하락, 금년산 면적 0.7% 감소 전망 2019년 상반기 엽근채소 가격 전년 대비 약세 전망-고추면적증가하고 마늘양파 감소 전망 제22회 농업전망 2019 “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그리고 미래”라는 주제로서울대회가 지난 23일(수), 잠실 롯데호텔(1,800여 명 참석)에서 성황리에개최됐다. 이날서울대회 프로그램 구성은제1부2019년 농정 방향과 한국 농업 미래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특별강연은 포용국가와 농업‧농촌의 가치성경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이 발표했고,2019년 농정방향과 주요 정책과제에 대해서는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이 발표했다. 또,2019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은 박기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장이 발표했다. 제2부농업‧농촌의 가치와 기회를 향한 농정의 이정표발표 및 토론으로 이어졌다. 1분과는 농업‧농촌의 새로운 가치(직불제, 일자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 12월 양념류 농업전망> ▷건고추= 2018년산 건고추 생산량은 재배면적 증가와 작황호조로 전년보다28%증가한7만1,509톤이다(통계청, 11. 23.).건고추12월 화건 상품600g당 평균 도매가격은2018년산 생산량 증가로 전년(12,360원)보다 낮고 전월(11,790원)대비 약보합세로 전망된다. 2019년산 고추 재배의향면적은2018년산보다2∼5%증가한29,300∼30,200ha로 전망된다. ▷마늘= 2018년산 난지형 마늘 입고량은 전년 대비1%증가한9만7천 톤 내외, 11월 말 기준 출고량은 전년보다8%많은3만 톤으로 추정된다.따라서 감모율을 감안한 재고량은 전년보다4%적은6만2천 톤으로 추정된다. 12월 깐마늘 평균 도매가격은 전월(5,980원)과 비슷한5,950원 내외로 전망된다. 2019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평년보다12∼15%증가한26,500∼27,300ha로 추정된다. ▷양파= 2018년산 양파 입고량은 중만생종양파 생산량 증가로 평년보다9%많은67만2천 톤 내외로 추정된다. 11월말 기준 출고량은 평년보다3%많은24만9천 톤 내외로 추정된다.따라서 감모율을 감안한 재고량은 평년보다11%많은37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올해 여름철 무더위와 가뭄 피해로 면적당 콩 수확량이 줄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여름은 평년에 비해 온도는 4℃ 가량 높았던 반면, 강수량은 평균50mm 미만1)으로 극히 적어 콩 재배에 매우 불리한 환경이었다. 7∼8월은 콩의 꽃이 피고 꼬투리가 맺히는 매우 중요한 시기인데, 올해와 같은 환경 조건에서는 낙화와 수정 장해가 있다. 이 때 무더위가 계속되면 콩 꼬투리와 알의 수가 적어지고 양분 이동이 고르지 못해 수량과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농촌진흥청 자체 시험 결과, 꽃이 피는 시기에 물대기를 하지 않으면 꼬투리와 알 수가 평년 대비 최대 30%까지 줄어들 뿐 아니라 크기 또한 작아져 결과적으로 콩 무게와 수량이 감소했다. 또한 올해는 무더위와 가뭄에 의한 생육 정지로 꼬투리 달림과 콩알 성숙이 평년 대비 10일 이상 늦어져 건강한 종자 및 고품질 원료 콩 생산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 여름철 무더위와 가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절한 물대기가 중요하다. 농촌진흥청의 현장 실증 조사 결과, 올해 적절한 물대기를 실시한 콩밭은 피해가 적었습니다. 꼬투리와 콩알 수가 약 30% 많았으며 콩 한 알의 무게는 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에서는 “2019년산 마늘‧양파 재배의향 속보”를 발표하였다. 표본농가 조사와 모형 추정결과, 2019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2018년산 마늘 가격 약세로 전년보다 6~8% 감소하나, 평년보다는 10~13% 증가한 26,000~26,700ha 내외로 전망된다. 품종별로는 한지형 마늘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2%, 난지형은 7% 감소하나, 평년보다는 각각 3%,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산 양파 재배면적은 2018년산 양파 가격이 낮게 형성됨에 따라 전년보다 9~15% 감소하나, 평년에 비해서는 7~14% 증가한 22,600~ 24,000ha 내외로 전망된다. 품종별로는 조생종 양파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15%, 중만생종 양파는 14% 감소하나, 평년 대비로는 각각 17%, 6% 증가가 예상된다. 마늘 및 양파의 추정 재배면적에 평년 작황을 가정할 경우, 2019년산 마늘 생산량은 33만 9천 톤 내외, 양파는 143만 2천 톤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생산량은 생산량이 크게 많았던 전년보다 2%, 평년 대비 11% 증가한 것이며, 양파의 경우 전년보다 6% 적으나 평년에 비해 10% 많은 수준이다. 따라서
감귤관측조사위원회(위원장 한상헌)와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송승운)에서는노지감귤2차 관측 조사결과46만∼49만4천 톤이생산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착과상황 조사는 지난8월20일부터27일 까지 농업기술원 관측 조사요원336명이 투입되어도내458개소에서 조사한 결과다. 착과상황 관측조사는 조사대상 감귤원에2그루 중1나무에는 열매를 모두 따고, 1나무는 열매가 달린 상태에서 과일수와 크기를 조사했다. 조사결과1나무 당 평균816개가 달린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평년798개보다18개가 많이 달린 것으로 나타났으며,열매크기는41.7㎜수준으로 평년에 비해1.5㎜ 큰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올해 산 노지감귤이 평년에 비해 큰 것은 과실비대 초기인5~6월에 평균기온이 높고 강수량도 많아 열매가 커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당도는8.2°Bx로 최근5개년 평균7.6°Bx보다0.6°Bx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산함량은3.17%로 평년보다0.02%높았는데7월 중순이후 가뭄이 당도는 높은 반면 산함량도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했다. 금년산 노지감귤의 착과량은 지역별로 차이가 많아 제주시 지역에 착과량이 많고 서귀포시 지역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나무간에도 착과량에 많은 차
고랭지감자 생산량 전년 대비 9.5% 감소한 8만 9,532톤으로 전망이다. 고랭지감자 재배면적은 감자 가격 강세로 무 등의 경합작물 재배농가가 일부 감자로 전환하면서 전년 대비 5.1% 증가한 3,410ha 수준으로 추정이다. 단수는 지속된 폭염 및 가뭄 피해 등으로 작황 부진이 심화되어 전년 대비 13.9% 감소한 2,626kg/10a 수준으로 예상이다. 9월 감자 가격은 4만 2천~4만 5천 원 내외로 전망이다. 9월 도매가격은 고랭지감자 생산량 감소로 출하량이 줄어 전년 동기 대비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이다. 또한 가을감자 재배면적 전년 대비 9.7% 증가 전망이다. 주산지인 제주지역 재배면적은 최근 감자 가격 강세, 경합작물의 가격 약세 등으로 전년보다 5.3% 증가 전망이고, 내륙 지역도 감자 가격 상승과 경합작물의 전년도 출하기 가격 약세 등으로 전년보다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이다. 나하은 kenews.co.kr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 농업관측본부는 오는 9월 5일(수) 오후 2시부터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농업인회관에서 ‘채소류 수급안정을 위한 주산지 미니전망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미니전망대회는 양념채소류의 수급동향과 재배의향면적 조사 결과를 농업인에게 제공함으로써 합리적인 재배 의사결정 및 수급안정을 유도하고, 양념채소류의 출하 및 유통현황을 주산지 농업인과 공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다. 이번 행사에서 KREI 농업관측본부 김원태 양념채소관측팀장은 양념채소 수급동향과 전망을, 농림축산식품부 원예산업과 김상엽 사무관은 채소류 수급안정을 위한 정책 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또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권영석 연구사는 양파·마늘 재배기술 및 병해충 관리에 대해 발표한다. 이번 행사에는 농업인, 생산자단체, 유통업체, 지자체 관련 품목 담당자, 농협지역본부·조합 관계자, aT 관계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나아름 kenews.co.kr
민간연구소인 GS&J가 31일 발표한 쌀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7월 25일자 산지 쌀값은 80kg당 17만 7,052원으로 10일전 가격 대비 0.3%(548원) 상승하여 13개월째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것.산지 쌀값의 10일전 대비 상승률이 1∼3월 평균 1.0%로 높게 유지되다가 정부가 작년산 산물벼 8만 3,600톤을 RPC에인도하고 밥쌀용 수입쌀도 방출하면서 쌀값 상승률이 4월과 5월에는 각각 0.3%, 0.2%로 낮아졌다. 6월 쌀값 상승률이 0.3%로 다시 높아지자 정부는 6월 26일 10만 톤을 공매하였으나 7월 5일에는 0.5%로 높아졌으며,15일과 25일에도 각각 0.4%, 0.3% 상승하여 강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상승률은 낮아지고 있다. 산지 쌀값은 작년 6월 15일에 12만 6,640원/80kg까지 떨어진 뒤 상승세로 전환되어 현재까지 13개월째 상승세를이어가고 있다. 7월 25일자 산지 쌀값은 평년 가격 15만 6,715원/80kg 대비 13.0%(2만 337원) 높은 수준이다. 평년 동일자 대비 금년 쌀값은 1월에는 1.2% 낮았으나, 2월 5일에 상승세로 전환된 후 4월 평균 8.6%, 7월 평균12.5%로높아졌다. 7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7월18일(수)전라남도 무안군 승달문화예술회관에서 채소류 수급안정을 위한 주산지 미니전망대회를 개최했다. 이번미니전망대회는 양념채소류의 수급동향과 재배의향면적 조사결과를 농업인에게 제공함으로써 합리적인 재배 의사결정 및 수급안정을유도하고,정부의 농산물 수급안정 주요 정책을 주산지농업인 및 유관기관 이해관계자 등과 공유하여 정책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다. 이번 행사에서KREI농업관측본부 김원태 양념채소관측팀장은양념채소 수급동향과 전망에 대해 발표한다.또한 농촌진흥청 국립특작원예과학원 채소과권영석박사는 마늘·양파 일반재배기술 및 병해충 관리를,농림축산식품부 원예산업과 김상엽사무관은채소류 수급안정을 위한 정책방향에 대해발표했다. 마지막으로 주제발표 이후에는 발표내용을 비롯한 양념채소류의 생산,소비,정책 등과 관련한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이번 행사에는 농업인,생산자단체,유통업체,지자체 관련 품목 담당자,농협지역본부·조합 관계자, aT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추=7월 상품 도매가격은 작년(8,490원)보다 낮으나,평년(6,280원)과 비슷한6,000원/10kg(상품)내외 전망.2018년 가을배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6%감소 전망이다. ■무=7월 상품 도매가격은작년(12,470원)및 평년(11,260원)보다 높은14,000원/20kg내외 전망.2018년 가을배추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6%감소 전망이다. ■당근=7월 상품 도매가격은작년(23,120원)및 평년(26,850원)보다 높은39,000원/20kg(상품)내외 전망.2018년가을당근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2%증가 전망이다. ■양배추=7월 상품 도매가격은작년(4,250원)및 평년(4,690원)보다 낮은4,000원/8kg(상품)내외 전망.2018년 가을양배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3%증가 전망이다. 나남길 kenews.co.kr
한우가격 ‘강보합’돼지 사육증가로9.4%까지‘하락’ 전망한국농촌경제연구원 “수입과일 소비 증가하고국내과일 정체될 듯” 전망보고서 발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원장 김창길)은 1월 2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농림축산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각 분과별로 나눈 ‘2018농업전망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연구원은 발표자료를 통해 2018년 농업생산액은 전년比0.8%증가한48조9,68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또, 재배업 생산액이 4.0%증가하나,축잠업 생산액은3.7%감소로 분석했다.또, 재배업 생산액4.0%증가한29조4,560억 원 전망되나,생산조정제에 따른 쌀 생산량 감소(쌀 재배면적5만ha감소)및 두류·서류 가격 하락으로 곡물류 생산액4.0%감소,채소류 및 과실류 생산액 증가될 것으로 봤다. 채소류는10.4%,과실류5.6%,특용·약용1.9%증가하고쌀은3.5%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축잠업 생산액은 산란계,오리,육계의AI여파 회복에 따른 생산증가 및 가격하락으로3.7%감소한19조5,130억원 전망된다. 돼지,계란 생산액도 감소 전망이다.한육우는3.3%,젖소0.4%증가하고돼지6.6%,닭6.9%,계란11.4%,오리2.1%감소될 것으로 분석됐
산지 쌀값 ‘강세’ 지속GSJ 쌀가격 동향... 산지 쌀값 강세 지속 예측 1월 15일자 산지 쌀값은 80kg당 15만 8,712원으로 10일전 가격 대비 0.6%(1,020원) 상승하였다.쌀값 상승률이 작년 12월 5일 0.8%에서 15일 0.4%, 25일 0.3%로 낮아지다가 올 1월 5일에 1.0%로 높아졌고,15일에는다시 0.6%로 낮아졌다. 1월 15일자 산지 쌀값은 작년 같은 일자 가격 12만 9,264원보다 22.8%(2만 9,448원) 높은 수준이다.작년 1월 15일자 산지 쌀값이 10일전 대비 0.1% 하락한 반면, 금년 1월 15일자 산지 쌀값은 0.7% 상승하여 전년대비 상승률이 1월 5일 21.9%에서 15일 22.8%로 높아졌다.1월 15일자 산지 쌀값은 작년 수확기(10∼12월) 평균가격 15만 3,213원/80kg보다 3.6%(5,499원) 높은수준이다.산지 쌀값이 상승세를 이어감에 따라 작년 수확기 평균가격(15만 3,213원/80kg) 대비 산지 쌀값 상승폭이 1월 5일 2.9%(4,479원)에서 15일 3.6%(5,499원)로 커졌다. 나하은 kenews.co.kr
1월 산지쌀값 ‘강세’ 출발GSJ, 산지쌀값 15만 7,692원으로 10일전 가격대비 1% 상승 1월 5일자 산지 쌀값은 80kg당 15만 7,692원으로 10일전 가격 대비 1.0%(1,568원) 상승하였다.쌀값 상승률이 작년 12월 5일 0.8%에서 15일 0.4%, 25일 0.3%로 낮아지다가 금년 1월 5일에는 1.0%로크게 높아졌다. 1월 5일자 산지 쌀값은 작년 같은 일자 가격 12만 9,328원보다 21.9%(2만 8,364원) 높은 수준이다.작년 1월 5일자 산지 쌀값이 10일전 대비 0.4%(528원) 상승하였으나 금년 1월 5일자 산지 쌀값 상승폭이1.0%(1,568원)로더 크게 나타남에 따라 산지 쌀값의 작년 동일 대비 상승률이 작년 12월 25일 21.2%에서금년 1월 5일 21.9%로 높아졌다.1월 5일자 산지 쌀값은 작년 수확기(10∼12월) 평균가격 15만 3,213원/80kg보다 2.9%(4,479원) 높은 수준이다.2017년산 수확기 산지 가격은 10월 5일 80kg당 15만 892원에서 12월 25일 15만 6,124원으로 꾸준히 상승하였고, 수확기평균가격은 80kg당 15만 3,213원으로 2016년 수확기 가격 대비 18%
농업관측본부 ‘1월 돼지출하량 증가’ 전망KREI, 육계 종계입식량 사상최대 예상돼 수급조절 나서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는1월 돼지 지육가격4,200∼4,500원/탕박kg에 형성될 것이라는 1월 축산전망을 내놨다. 12월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증가한1,060만 마리 전망하고,사육 마릿수 증가로1월 돼지고기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한7만7천 톤 전망하고 있다.국내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와 지육가격 하락으로1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월보다 감소한2만9천 톤 내외 전망이다. 농업관측본부는등급판정 마릿수가 증가하여1월 돼지 지육가격은 탕박 기준kg당 평균4,200∼4,500원선에 형성될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또,내년1월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한1,100∼1,300원/kg전망했다.11월 육용 종계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대비2.8%증가한28,035톤이다.11월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 전년 동월보다3.0%증가한469만 마리,총 사육 마릿수는6.5%증가한839만 마리 추정하고 있다.병아리 생산 증가로 내년1월 육용계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1.6%증가 추정된다. 1월 도계 마릿수는 육용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전년 대비1.8%증가하고,닭고기 공급 증가로육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