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청, 산불예방 숲 가꾸기 품질‧효과 높인다

- 현장 중심 점검과 전문가 컨설팅 확대를 통한 부실 사례 방지 및 효율성 제고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대형 산불 예방을 위해 추진 중인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에 대한 점검과 제도 개선 강화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2021년도부터 도입된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은 주택·도로 등 생활권 인근의 산불에 취약한 나무들을 가꿔 산불 위험이 적은 산림으로 육성하는 사업으로, 매년 약 2만 헥타르(ha) 규모로 실시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결과에 따르면 숲속의 나무를 약 40%를 솎아내는 숲가꾸기를 실행한 산림은 산불확산 속도가 초속 1.31m에서 초속 0.93m로 29% 감소했고 임목피해 비율도 61%에서 35%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매년 사업 효과 제고를 위해 숲가꾸기 담당자 및 산림기술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중앙·외부 전문기관에 의한 점검과 품질 평가로 사업 시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있다. 올해는 4월부터 9월 말까지 점검을 추진 중이다.


특히, 사업 시공 시 부적절한 품셈 적용, 제거한 나무의 처리 및 사업지 누락 등에 대해서는 행정처분 및 보조금 환수 등 조치를 엄격하게 하는 등 사업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권역별로 전문가 중심의 현장 맞춤형 자문으로 산불예방 숲가꾸기의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박은식 산림청 국장은 “산불예방 숲가꾸기 품질과 효과를 높이기 위해 현장점검, 컨설팅 등을 강화하겠다.”라며, “사업의 부실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 개선에도 노력하는 한편 모니터링도 철저히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