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제주 흑우’ 암소 30여 마리 시범 방목

- 농촌진흥청, 제주 흑우 유전적 보존 및 개체 증식 연구
- 한라산 중산간 55헥타르 초지에서 생태 친화적 순환 방목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제주 흑우’ 암소 30여 마리를 9월까지 약 4개월간 한라산 중산간 해발 500~800미터 초지 55헥타르에서 방목한다.


‘제주 흑우’는 털이 검은 한우 품종으로, 기원전부터 제주 지역에서 사육해 온 우리 고유의 재래 가축이다. 조선왕조실록, 탐라순력도, 탐라기년 등 여러 고문헌에는 제향에 진상했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가 높다. 한우, 칡소, 교잡우와는 구별되는 독자적 혈통을 보유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방목으로 제주 흑우의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생산성 향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기존 연구 결과, 방목을 했을 때 축사 사육 대비 에너지 소비가 15~50%가량 증가했고, 소의 근골격계 건강과 전반적인 활력이 높아졌다. 또한, 채식 시간도 약 6시간 더 길어져 하루에 약 60~70kg의 신선한 풀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70~80%의 수분을 함유한 생초는 전해질 균형, 체온 조절, 영양소 운반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한다. 생초 건물량의 50~70%를 차지하는 탄수화물과 10~25%의 단백질,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은 별도의 배합사료 없이도 충분한 영양 공급원이다.


특히 생초에 풍부한 섬유소는 소의 반추위에서 미생물 발효를 촉진하고 주요 에너지원인 휘발성 지방산(VFA)으로 전환된다. 이는 소의 에너지 요구량 60~80%를 충족하며 소화 기능과 에너지 대사를 촉진한다. 나아가 타액 분비를 돕고, 장 운동성을 개선한다.


방목 사육 소의 혈중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농도는 밀집 사육 소에 비해 10~30% 낮아 스트레스도 줄여준다.


방목 사육은 배합사료 위주의 사육에서 흔히 발생하는 소화기 질병 발생률도 낮춰준다. 배합사료 위주로 사육할 때 20~40%에 달하는 반추위 산증 발생률이 방목 사육했을 때는 5% 미만으로 현저히 줄었다. 설사 발생률도 밀집 사육(20~30%)보다 방목 환경(5~10%)에서 감소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센터 김남영 센터장은 “제주 흑우의 유전적 보존 및 개체 증식 연구에 매진해 제주 흑우의 가치와 인지도를 높이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