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축단협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허용 당장 철회하라!" 긴급성명

- 축산관련단체협의회 "AI가 발생된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 지역화는 무능ㆍ무책임한 졸속행정" 지적하고 나서
- "정부가 브라질산 닭고기에 할당관세... 국내산 닭고기 자급률 20년 만에 80% 이하로 추락"
- 수입 닭고기... 순살치킨, 닭강정, 꼬치 등 닭고기 재료로 이용되면서 국내산 닭고기 시장 심각하게 위축
- 축단협 "정부는 브라질산 가금육 등 지역화 추진을 당장 철회하라!"

 

축산관련단체협의회가 브라질에서 AI 질병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닭고기 수입을 허용하자 이를 당장 철회하라는 긴급성명을 발표했다. 축단협에서 발표한 성명서 전문이다.

 

정부는 브라질산 가금육 및 가금생산물 등 수입금지 조치가 시행(5.17)된지 불과 5일 만에 브라질 AI 미발생 지역에서 생산된 닭고기에 한해 수입을 허용(지역화)하기로 발표했다.

 

지역화로 인한 국내 닭고기 시장의 영향분석 및 업계 관계자와의 소통 없는 일방적이고 편향적인 졸속행정의 극치가 아닐 수 없다.

 

정부는 닭고기 주요 수입업체의 재고 물량이 3개월가량 남은 것으로 파악된 만큼 브라질의 고병원성 AI 발생 동향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가금 생산자단체와 닭고기 생산자와의 소통을 통한 수급 개선책을 강구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번 조치는 우리 정부가 브라질산 닭고기 수출업체에게 날개를 달아주는 꼴이 되어, 국내산 닭고기 자급률은 위축되고 국내 가금 산업에 큰 위해가 될 것이다.

 

우리는 이미 2022년 하반기부터 2024년 1분기까지 정부가 브라질산 냉동 닭고기에 할당관세를 부과하며 국내산 닭고기 자급률이 20년 만에 80% 이하로 떨어졌다.

 

우리는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수입업체들이 할당관세 등을 활용해 어떻게 폭리를 취하고 있으며, 수입산 닭고기의 위생관리와 브라질산 가금육의 지역화 추진 과정에서의 문제점이 있는지를 끝까지 파헤칠 것이다.

 

외국에서 수입되는 닭고기는 대부분은 순살치킨, 닭강정, 꼬치 등 닭고기 재료로 이용되면서 국내 닭고기 시장을 위협하고 있다.

 

정부는 소비자들에게 신선하고 안전한 국내산 닭고기가 아닌 수입산 닭고기 소비를 부추기는 꼴이다.

닭고기는 브라질뿐만 아니라 미국, 태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도 수입이 가능한 만큼 한 나라에 국한하지 말고 수입 다변화를 모색해 풀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정부는 물가 안정이란 미명아래 보여주기 정책을 지양하고 국내 가금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정책적 대응에 진심을 다해 주길 바라며, 브라질 가금육 등의 지역화 추진을 당장 철회하기 바란다는 성명으로 지역화 철회를 강력촉구하고 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육우자조금, 지속형 체험 프로그램 통해 소비자 인식 제고 나서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조재성)는 (사)소비자공익네트워크와 함께 소비자 대상 육우 농장 체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18일, 충남 예산에 위치한 아그로랜드 태신목장에서 열린 행사에는 30여 명의 소비자가 참여해, 육우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직접 체험을 통해 접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번 체험은 참가자들이 축사 현장에서 사육 활동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돼, 육우의 생산 과정을 현장에서 생생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를 통해 육우가 식용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국내산 전문 고기소임을 명확히 인식하게 되었으며, 육우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산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조재성 위원장은 “육우는 우리나라에서 자란 100% 국내산 소고기다. 소비자들이 올바른 정보를 바탕으로 육우를 인식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들은 “직접 현장을 보고 나니, 육우가 고기소로 사육되는 국내산 소고기라는 점이 확실히 와닿았다. 믿고 먹을 수 있는 건강한 소고기로서 식탁에 올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는 이번 프로그램을 포함해 총 4회에 걸쳐 소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