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논 살리고 소 살리고’ 총체 벼로 일석이조 효과

- 농진원, 목양·영우 품종으로 쌀 생산조정과 축산업 상생 도모
-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축산 품질 높이고 외화 절감까지... 총체 벼의 숨은 가치"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이 2025년 ‘쌀 생산조정제’의 활성화를 위해 총체 벼(곡물과 볏짚을 통째로 수확하여 사료로 사용하는 벼)의 종자 470톤을 농가에 공급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총체 벼 품종인 '목양' 300톤과 '영우' 170톤을 3월 중에 공급할 예정이다.


아열대화되는 우리나라 기후에서 논에는 최근 콩 재배가 늘고 있지만, 벼가 가장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작물로 꼽힌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농업기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총체 벼는 생산조정제를 위한 쌀 벼의 대안 작물이 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서울대 연구팀과 함께 사료용 벼를 한우와 젖소에 급여하는 시험으로 그 효과를 확인했다. 사료용 벼를 먹인 한우는 수입 조사료를 먹인 한우 대비 육질에 차이가 없었으며, 하루당 개체 체중은 18% 향상되었다.


특히, 고기의 기능성 성분인 알파-토코페롤(비타민 E) 함량이 1.8배 높게 나타났다. 젖소의 경우에도 우유 생산량이 10%, 임신율은 17% 향상되었으며, 체세포수가 낮아져 1등급 우유 기준을 충족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2013년부터 농진원에서 보급한 총체 벼 종자로 논농사를 짓고 생산한 총체 벼를 사료로 먹이며 한우를 키우는, 전남 해남의 진병철 씨는 "한우가 체중이 빠르게 늘어나는 성장 후반기(출하 전 6개월)에 총체 벼를 먹여도 육질 등급이 떨어지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오히려 20∼30%의 사료 급여량이 줄어 경영비 절감에 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총체 벼 활용은 국내 조사료 자급률 향상과 외화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사업으로 평가된다. 총체 벼가 포함된 사료를 24개월간 급여 시 소 한 마리당 1.6톤의 수입 조사료를 절감할 수 있다.


가령 1만 헥타르에 총체 벼를 재배한다면 약 10만 톤의 양질의 조사료가 생산되어, 연간 100만 톤 이상 수입되는 조사료의 약 10%를 대체할 수 있다. 이는 약 340억 원의 외화 절감 효과로 이어질 전망이다.


총체 벼는 농가의 소득 안정화와 국가 경제에 기여함과 동시에, 축산물의 품질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