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북한 식량생산 478만톤에 그쳐...전년비 4만톤↓

- 농촌진흥청, 2024년도 북한 식량작물 생산량 발표
- 기상 여건, 병충해 발생 및 비료 수급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북방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2024년도 북한 식량작물 생산량’ 추정 결과를 발표했다.

 

북한 지역의 기상 여건, 병충해 발생 및 비료 수급 상황, 국내외 연구기관의 작황 자료, 위성영상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올 한 해 북한에서 생산된 식량작물은 총 478만 톤으로, 2023년도 482만 톤보다 4만 톤(0.8%)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작물별 생산량은 쌀 215만 톤, 옥수수 161만 톤, 감자·고구마 54만 톤, 밀·보리 28만 톤, 콩 18만 톤 및 기타 잡곡 2만 톤이다.

 

쌀 생산량은 작년 대비 4만 톤(1.9%)이 증가했다. 벼 이앙기 및 초기 생육기(5∼6월) 기온과 일조가 매우 좋아 초기생육이 양호했으나, 이삭 형성기(7월) 집중호우로 일부 지역 침수 피해가 발생했고, 등숙기(8∼9월) 고온으로 벼알 무게가 감소해 수량성은 전년보다 다소 감소(420kg/10a→ 414kg/10a)했다.

 

하지만 벼 재배면적이 늘어나(3.4%) 쌀 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옥수수는 작년 대비 9만 톤(5.3%)이 감소했다. 생육 초·중기(5∼6월) 강우량이 적당해 생육이 양호했으나, 개화기(7월) 일부 지역에서 집중호우로 개화·수정 장해가 발생했고, 등숙기(8∼9월) 고온으로 등숙이 불량해 옥수수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감자·고구마는 작년 대비 4만 톤(6.9%)이 감소했다. 감자와 고구마는 생육 중‧후기(봄감자: 6월, 여름감자‧고구마: 6월, 8∼9월)에 가뭄 또는 고온으로 덩이줄기(감자)‧덩이뿌리(고구마) 형성과 비대가 충분하지 않아 전반적으로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밀·보리는 작년 대비 6만 톤(27.3%)이 증가했다. 가을파종 밀·보리는 1월 온난화로 월동이 유리했고, 5월까지 적당한 기온과 강수량으로 지상부 생육이 양호해 수량성이 전년 대비 증가(183kg/10a→197kg/10a)했다. 재배면적 또한 증가(19.3%)해 생산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콩은 작년 대비 1만 톤(5.3%)이 감소했다. 파종기(5월)에 적절한 강우로 입모 확보에 유리했으나, 신장기(6월) 한발과 개화기(7월) 많은 강우로 습해가 발생했고, 콩알이 커지는 시기(8∼9월)에 고온으로 종자 무게가 줄어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올해 북한 지역의 여름작물 생육기간(5∼9월) 평균기온은 21.3도(℃)로 작년보다 0.3도 높았고, 강수량은 914.4㎜로 작년보다 27.3㎜ 많았다. 일사량은 2801.1MJ로 작년보다 33.9MJ 많았다.

 

농촌진흥청 국제기술협력과 이경태 과장은 “올해 북한 지역 기상이 5월까지는 식량작물을 생산하기에 전반적으로 양호했으나, 7월 많은 강수량과 8∼9월 고온으로 인해 식량작물 생산량이 작년보다 다소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협상호금융, 대학생 홍보단 ‘NH콕서포터즈'와 함께 '콕! 콕! 콕! 튀는 아이디어 경연대회' 개최
농협(회장 강호동) 상호금융(대표이사 여영현)은 지난 28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 날 행사에서 NH콕서포터즈는 ‘외국인 고객 증대를 위한 개선 방안 및 신규사업 아이디어’와 ‘인터넷전문은행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신규 혜택 및 Fun서비스 아이디어’를 주제로 다양한 방안을 발표하였다. 외국인 고객 증대 방안 부문에는 다국어 상담 챗봇, 온라인 금융교육과 계절 근로제 패키지 금융상품, 다국어 지도 도입 등의 아이디어가 제시되었고, 경쟁력 강화 방안 부문에는 부모-자녀 연계 용돈지급 서비스와 나만의 감정 기록 서비스 아이디어 등이 제시되었다. 이 날 경진대회에서 최우수팀으로 선정된 NH콕서포터즈 ‘콕대기’팀의 공희원 학생은 “치열한 고민 끝에 제시한 아이디어가 인정을 받으니 진정한 농협의 일원이 된 기분”이라며, “남은 활동 기간도 농협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마음으로 열심히 하겠다”고 밝혔다. 여영현 대표이사는 “대학생의 시각으로 농협과 NH콕뱅크의 발전 방안을 논하는 자리가 매우 뜻깊었다”며, “NH콕서포터즈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외국인 고객 증대와 경쟁력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