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문홍길 축산환경관리원장 신년사... "축산환경과 생산성 개선 원년의 해"

문홍길 축산환경관리원장 신년사

 

 

갑진년(甲辰年), 축산환경과 생산성 개선 원년의 해!

“좋은 시절은 우리의 적이다. 우리를 잠들게 만든다. 역경은 우리의 친구다. 우리를 깨어나게 한다” (달라이 라마)

 

우리는 흔히 유럽 축산선진국의 높은 생산성을 부러워합니다. 그들은 왜 생산성이 높을까?

종축은 거의 비슷하고 사료는 오히려 우리의 스펙이 더 높습니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 비해 유럽의 온화한 기후가 가축을 기르기에는 더 좋은 조건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기후조건만으로 다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달라이 라마의 말처럼 그들을 깨어나게 한 역경은 무엇이었을까? 필자는 유럽 축산농가의 낮은 소득률, 따라서 생산성이 낮은 농가는 도태될 수밖에 없는 산업구조가 그들을 깨어나게 한 역경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역시 사룟값과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소득률 감소라는 역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산성을 개선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엔 반대로 우리가 유럽에 비해 생산성이 낮은 이유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제가 도달한 결론은 사육환경 불량에 따른 만성 소모성 질병의 다발입니다.

 

말처럼 쉽지 않겠지만 어렵다 푸념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 또한 아니기에, 2024 갑진년을 사육환경 즉 축산환경 개선에 의한 생산성 제고의 원년으로 삼자고 감히 제안합니다.

 

축산환경 개선에는 기본적으로 시설 개선 등을 위한 자본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여건이 허락하는 농가는 적극 투자하시고, 그렇지 못한 농가는 축사 내외부 청결 유지, 적절한 사육밀도 준수, 신속한 분뇨 제거 등 농장의 실정에 맞는 최선의 노력을 해주시기를 바랍니다.

 

축산환경관리원은 지난해 축산농장의 당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개선, 지역단위 축산환경 개선 교육·컨설팅 등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늘어나는 가축분뇨의 원활한 처리를 도울 뿐만 아니라, 새로운 가치를 더하기 위해 고체연료, 바이오차, 바이오가스 등 가축분뇨의 새로운 활용처 모색에도 매진하였습니다.

 

2024년은 ‘깨끗한 축산농장’이나 ‘환경친화 축산농장’의 사후관리를 돕고 이들 농장에서 생산되는 축산물의 유통도 지원하겠습니다. 또한 ‘공동자원화시설’의 운영효율을 개선하여 농장에서 신속하게 분뇨를 배출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액비의 웃거름 사용을 위한 제도개선을 통해 액비가 원활히 처리될 수 있도록 힘을 보태겠습니다.

 

축산환경관리원은 농장의 환경을 개선하고, 가축분뇨의 ‘리사이클링’과 ‘업사이클링’을 통해 여러분 농장의 가축분뇨 처리를 돕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모든 축산인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겠습니다. <문홍길 축산환경관리원장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