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고구마 '무병묘' 신청...11월 30일까지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바이러스 감염없는 모종 각 시·군 농업기술센터 사전수요 조사 접수 중
- 안호근 원장 “씨 고구마 수요 충족과 함께 국산 고구마 보급 확대에도 기여하겠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2024년 고구마 무병묘 생산·보급을 위해 플러그묘(포트묘)에 대한 사전수요 조사를 진행한다.

사전수요조사 기간은 11월 6일∼30일까지로 4주간 거주지 내의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 기관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농진원은 국산 품종에 대해서만 보급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소담미’, ‘진율미’, ‘호감미’, ‘호풍미’ 4품종이 그 대상이다.

 

 

‘소담미’는 꿀고구마 품종으로, 단맛이 강하고 식미가 우수하다. 2020년 등록된 신품종으로 ‘베니하루까’ 대체가 가능하다.

 

‘진율미’는 밤고구마 품종으로, 수량성이 좋고 조기 수확이 가능하며, 저장성도 좋아 국내 밤고구마 점유율 1위이다.

‘호감미’는 호박고구마 품종으로, 식감이 부드럽고 장기 저장이 가능하여 국내 호박고구마 점유율 1위이다.

 

 

‘호풍미’도 호박고구마 종류로, 당도가 높고 말랭이 가공성이 우수하며 덩굴쪼김병 등 병충해에 강하다. 2021년 신규 품종이고 ‘안노베니 대체’품종으로 이용 가능하다.

무병 플러그묘 단가는 850원/주이고, 품종별 최소 신청단위는 100주이다.

고구마 플러그묘의 공급(예정)시기는 2024년 1월 29일부터 3월 8일까지이다.

 

5월에 사용되는 고구마 종순의 사전 수요조사는 2024년 2월에 진행할 예정이다.

농가에서는 반드시 품종 특성을 참고하여 수요에 맞게 플러그묘를 신청해야 한다.

또한 고구마 묘를 자체 삽목·증식할 수 있는 시설이 가능한지를 확인 바란다.

 

농진원은 2010년부터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우수한 고구마 품종들의 바이러스 무병묘를 생산·보급하여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고구마 무병묘란 조직배양기술을 적용하여 수량과 품질 저하를 일으키는 8종 바이러스를 제거한 배양묘이다.

 

 

바이러스병에 감염되면 다음 세대로 병이 이어지며, 단일감염은 10∼20%, 복합감염은 최대 80%까지 피해가 발생한다.

 

현재 국내 고구마 생산지에는 단일감염보다는 2종 이상의 복합감염이 훨씬 많으며 최대 5종 바이러스 복합감염도 보고되고 있다.

 

고구마 바이러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진딧물, 담배가루이 등 전염원 방제 및 차단에도 신경써야 하지만, 특히 안전한 바이러스 무병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농진원 안호근 원장은 “국산 고구마 무병묘 공급 확대를 통해 바이러스병 걱정 없는 씨고구마 생산에 대한 농가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나아가 국산 고구마 보급률 확대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뙤약볕 농삿일 '온열질환 예방'... "물! 그늘! 휴식! 3대 수칙"
연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며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령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기후 민감 직업군인 농업인이 온열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건강 안전 행동 요령을 안내하고, 실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농작업 전 준비 사항= 농작업 당일 날씨와 체감온도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농작업 중 마실 수 있는 시원한 물을 준비한다. 챙이 넓은 모자와 밝은색의 헐렁한 작업복을 입고, 휴대용 선풍기나 보냉 장비(얼음 주머니, 냉각 목밴드 등)를 챙긴다. 더운 시간대(낮 12~17시) 작업은 되도록 피하고, 작업 일정을 조정한다. △농작업 중 점검 사항= 농작업 중 갈증이 나지 않아도 15~20분마다 시원한 물을 마시고, 체감온도가 33도(℃) 이상 오르는 폭염경보가 발효되면,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한다. 더운 날에는 작업 강도를 조정하고, 농작업자를 자주 교대한다. 체감온도가 35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작업을 멈추고 쉰다. 농작업 중 발열, 두통, 어지러움, 매스꺼움, 피로감 등 온열질환 증상이 나타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농작업 후 관리 요령= 농작업이 끝나면 그늘에서 잠시 쉬면서 수분을 보충한다. 작업 후에는 몸을 씻거나 시원한 곳에서 휴식하며 체온을 낮춘다.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촌재능나눔 대학생 캠프’에서 전공·특기 살려 재능 나눠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농어촌공사가 주관하는 ‘2025 농촌재능나눔 대학생 캠프’가 7월 1일부터 4일까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일대에서 진행된다. 이번 캠프에는 대학생 봉사단 200여명이 참여해 전기안전점검, 의료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능나눔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농촌재능나눔 대학생 캠프’는 2015년에 시작돼 올해로 10회째를 맞고 있다. 농촌 지역에서 진행되는 이 캠프는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한편, 대학생과 지역 주민 간 교류를 촉진해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에도 기여하고 있다. 대학생 봉사단은 7월 1일 발대식을 시작으로 자신의 전공과 특기를 살려 ▲의료활동 ▲마을벽화 그리기 ▲이·미용 활동 ▲안경 맞추기 ▲전기 안전점검 ▲아동교육 ▲마을 소통 프로그램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캠프에는 대학생 봉사단체와 함께 ▲하동군 옥종면·화개면 의용소방대 ▲봉사단체 ‘광양만 사람들’▲화개면 주민자치위원회 ▲농촌체험휴양마을 ‘의신베어빌리지’, ‘모암마을’ 등 여러 기관이 함께 참여해 풍성함을 더할 예정이다. 김영배 농어촌자원개발원장은 “농촌재능나눔 활동을 통해 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