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호주 '소값' 60% 폭락...국내 수입소고기 점유율 '껑충'

- 식품의약품안전처, 소고기 시장점유율 9월까지 호주 39.5%, 미국 52.1%...10월초 호주 59.3%, 미국 35.7%로 역전
- 축산물품질평가원, 매주 소‧돼지 현지 동향 및 주요 이슈 발표..."미국산 제치고 호주산 소고기 국내 시장점유율 1위" 차지

 

최근 이상기후 등의 영향으로 호주 현지 소 생우 가격이 폭락하며 우리나라 수입 점유율에 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제공하는 ‘주간 해외 수급 및 가격 동향’에서 살펴볼 수 있다.

호주축산공사(MLA)에 따르면, 호주 소 시장의 대표 지표인 ‘동부 어린 소 가격(Eastern States Young Cattle Indicator, 이하 EYCI)’이 2022년 1월 사상 최고 가격을 갱신 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다, 최근에는 9년 전 수준으로까지 폭락했다. 이는 호주의 강우량이 많아 최근 10년 만의 최대치일 정도로 소 사육두수가 증가한 영향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달 초 호주의 소 도축 두수는 전년 대비 약 33% 증가했다. 같은 시기의 EYCI는 ㎏당 3.36호주달러(한화 3,120원, 어린소 기준)로 집계됐는데, 지난해 동일한 시점에 집계된 10.39호주달러(한화 9,432원)보다 67.7% 하락한 수치다.

반면, 10월 첫 주 미국 내 지육 가격(Choice Grade 기준)은 ㎏당 6.61달러(한화 8,942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점에 비해 21.3% 상승했다.

한화 기준으로 호주보다 약 3배 높은 수준으로, 생산량 감소에 따라 높은 가격이 유지되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최근 호주산 어린소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2017년부터 부동의 1위였던 미국산을 제치고 호주산 소고기가 우리나라 수입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올 1~9월 호주의 점유율은 39.5%, 미국이 52.1%이었으나 10월 초순에는 호주가 59.3%, 미국이 35.7%로 역전됐다.

미국농무부 해외농업국(USDA FAS)이 발간한 ‘국제 가축 시장 및 무역 전망’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어린소의 가격 하락과 공급과잉은 내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축산물품질평가원은 매주 목요일 ‘주간 해외 수급 및 가격 동향’을 통해 소‧돼지 현지 동향과 주요 이슈 등을 제공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축산유통정보 누리집에 접속하여 정보자료실에서 볼 수 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aT, 삼성웰스토리와 손잡고 베트남에 K-푸드 전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삼성웰스토리(사장 정해린)와 함께,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삼성 법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7월 18일부터 30일까지 한국산 닭고기를 활용한 ‘K-급식 체험 홍보 행사’를 개최했다. 삼성웰스토리는 베트남, 중국, 헝가리 3개국에서 해외 단체급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급식 메뉴 개발 시 K-푸드를 적극 활용하는 운영 방식을 통해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또한 직영하는 마트 내 K-푸드 입점 품목을 꾸준히 늘려 K-푸드 수출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aT와 삼성웰스토리가 지난해 10월 국산 농식품 수출 다변화를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과 연계한 협력사업으로, 베트남 최대 수출 품목인 한국산 닭고기의 소비 저변과 수출 확대를 위해 기획됐다. 행사는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삼성 법인 내 9개 사업장에서 총 3차례 진행됐으며, 한국 영계를 활용한 삼계탕, 옛날통닭 등 1만 8000식의 특식이 제공됐다. 특히 한국의 초복과 중복 시기에 맞춰 행사를 진행하며 ‘이열치열’로 더위를 이겨내는 한국식 식문화를 소개해 현지 반응을 이끌었다. 현장에서는 삼계탕 부재료를 비롯해 향후 공장 내 미니마트에 입점 예정인 다양한 K-푸드를 전시·시식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