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팜스코, “Big Step to Next 50...한우 위기극복 세미나” 전국 순회 큰 호응

- 3월 한달간 충북, 전남, 전북에 이어 충남 논산과 경북 예천에서도 인기리에 열려
- 세미나 지역을 전국 곳곳으로 확대...더 많은 한우 농가들 만나 No.1 파트너 역할에 충실


팜스코(대표이사 정학상)는 지난 3월 29일 충남 논산 노블레스 웨딩홀과 경북 예천 축협한우프라자에서 ‘위기의 한우사업, 불황극복과 생존전략’이란 주제로 각각 100여분에 가까운 한우 사양가를 모시고 한우 경영전략회의를 진행하였다.

이날 동시에 실시된 두 행사는 최근 릴레이로 진행하고 있는 팜스코 한우 위기 극복세미나의 일환으로써, 3월 7일 충북 청주, 15일 광주광역시, 16일 전북 완주에 이어 충남과 경북 권역까지 전국적으로 세미나를 확대하며 뜨거운 호응을 받고 있다.

먼저 논산 노블레스 웨딩홀에서 진행된 세미나에서 최두현 축우팀장은 “어려운 상황에서 수익을내기 위해서는 생산비의 절감이 아닌 생산성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하며, 실제 팜스코와 함께 하며 높은 생산성으로 수익을 내고 있는 실증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 유덕은 지역부장은 “팜스코의 검증된 제품과 현장 활동을 통해, 한우 농가의 수익향상을 위한 네비게이션이 되어드리겠다”고 약속하며, 함께 최고의 파트너가 되어 위기를 극복해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같은 시각 예천에서 개최된 세미나에서 최덕찬 팀장 역시, “한우 불황인 위기 상황, 생존경쟁의 시대에 단 하나의 전략은 생산성의 극대화”라고 강조하였다.

장지훈 지역부장은 “우량 밑소를 위해 건강한 모축을 만들고(스페셜번식우), 좋은 영양(슈프림프로그램)으로 유전력을 극대화시키며, 최고의 사양&환경 관리(팜스코 축우 컨설팅)가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한다”며, 생존경쟁의 시대 3가지 돌파구를 요약 제시하였다.

이처럼 팜스코는 한우 농가들이 위기의 한우 시장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도록, 전국적인릴레이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최근 한우 시세의 하락으로, 불안감이 팽배해져있는 한우 농가들에게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고, 수익성 있는 사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길잡이가 되고자 하는 것이 이번 릴레이 세미나의 목표이다.

팜스코는 앞으로도 위기 극복 전략을 널리 전파하기 위해 세미나 지역을 전국 곳곳으로 확대해, 더 많은 한우 농가들을 만나 No.1 파트너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예정이며, 한우 산업의 건강한 성장과 부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