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동물복지 축산물 찾아가는 소비자 67%↑

- 한국축산데이터,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 진행...동물복지 축산물 구매 이유 ‘동물복지’·‘식품안전성’
- 소비자 60% “비싸도 동물복지 축산물 구매"...동물복지 인증 영향력 향후 확대 전망

소비자 상당수는 동물복지 축산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의향도 높은 것으로 조사돼 동물복지가 축산물 구입의 핵심 기준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한국축산데이터가 자사 프리미엄 원헬스 축산물 마켓 ‘굴리점퍼’ 이용자 5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동물복지 축산물을 선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중 67.6%가 '매우 선호한다' 또는 '선호한다’라고 답했다. ‘선호하지 않는다’ 또는 ‘전혀 선호하지 않는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3.9%에 불과했다.

굴리점퍼는 한국축산데이터의 가축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팜스플랜’으로 건강하게 기른 돼지고기 ‘팜스플랜미트’와 ‘아트리스아트’, 국내 유일 전통 산란계 토종닭으로 인증 받은 농장에서 자연 방목으로 생산한 ‘잘란’ 등 프리미엄 축산물을 판매하고 있다. 


동물복지 축산물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34.2%가 ‘안전한 먹거리로 믿을 수 있어서’라고 응답했다. ‘동물복지를 위해서(30.1%)’, ‘건강을 위해서(13.7%)’라는 응답은 그 뒤를 이었다.

이같은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높은 선호도는 그대로 동물복지 인증 선호로 이어졌다. ‘축산물을 구매할 때 동물복지 인증 여부는 중요한 기준인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63.5%가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라고 답했다. 8.9%의 응답자만이 ‘그렇지 않다’ 혹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답했다. 동물복지 인증 여부가 소비자의 축산물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의미다.

향후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축산물 구매 시 동물복지 인증 여부가 점점 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81.2%가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라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 혹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3.7%에 그쳤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를 위해 기꺼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생각이 있는 소비자도 상당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60%가 '일반 축산물 대신 동물복지 축산물 구입에 더 많은 비용을 쓰겠다'라고 답했다. ‘고려해보겠다’라고 답한 응답자도 30.6%에 달했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에 추가로 부담할 수 있는 비용에 대해서는 ‘10% 이하’라고 답한 응답자가 47.1%로 가장 많았다. 27.3%는 ‘5% 이하’라고 답했으며 19.4%는 ‘20% 이하’까지 추가로 가격을 부담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3.3%는 ‘비용은 상관없다’라고 답했다.

 


실제 소비자 대다수는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가 동물복지 강화에 기여한다고 생각했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가 동물복지 강화에 기여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1.3%가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라고 답했다. 2.8%의 응답자만이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답했다.

송신애 한국축산데이터 미래전략연구소 소장은 “동물복지와 식품안정성 등의 가치를 고려해 동물복지 축산물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축산물의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실제 가축 사육 현장에서 동물복지가 제대로 실현되는지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협상호금융, 대학생 홍보단 ‘NH콕서포터즈'와 함께 '콕! 콕! 콕! 튀는 아이디어 경연대회' 개최
농협(회장 강호동) 상호금융(대표이사 여영현)은 지난 28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 날 행사에서 NH콕서포터즈는 ‘외국인 고객 증대를 위한 개선 방안 및 신규사업 아이디어’와 ‘인터넷전문은행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신규 혜택 및 Fun서비스 아이디어’를 주제로 다양한 방안을 발표하였다. 외국인 고객 증대 방안 부문에는 다국어 상담 챗봇, 온라인 금융교육과 계절 근로제 패키지 금융상품, 다국어 지도 도입 등의 아이디어가 제시되었고, 경쟁력 강화 방안 부문에는 부모-자녀 연계 용돈지급 서비스와 나만의 감정 기록 서비스 아이디어 등이 제시되었다. 이 날 경진대회에서 최우수팀으로 선정된 NH콕서포터즈 ‘콕대기’팀의 공희원 학생은 “치열한 고민 끝에 제시한 아이디어가 인정을 받으니 진정한 농협의 일원이 된 기분”이라며, “남은 활동 기간도 농협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마음으로 열심히 하겠다”고 밝혔다. 여영현 대표이사는 “대학생의 시각으로 농협과 NH콕뱅크의 발전 방안을 논하는 자리가 매우 뜻깊었다”며, “NH콕서포터즈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외국인 고객 증대와 경쟁력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