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도드람양돈농협 조합원, ‘청정축산환경대상’ 최우수상•우수상 뽑혀

- 제5회 청정축산 환경대상에서 최우수상 팜큐브, 우수상 제일축산영농법인 수상 영예
- 도드람, 환경문제 주목하며 조합원 대상 컨설팅 강화… 지속가능 양돈업 육성에 힘
- 제5회 청정축산환경대상 시상식은 3월 중 농협중앙회에서 진행 예정
- 팜큐브 박계영 조합원, 제일축산영농법인 김병삼 조합원

도드람양돈농협(조합장 박광욱) 조합원 농가인 팜큐브와 제일축산영농법인이 ‘제5회 청정축산 환경대상’에서 각각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거머쥐는 성과를 거뒀다.

농협경제지주가 주최하고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나눔축산운동본부 후원으로 진행되는 ‘제5회 청정축산 환경대상’은 대한민국 청정축산을 선도하고, 국민과 함께하는 친환경 축산 구현을 위해 우수농가를 시상하는 행사다. 

 

가축 사육환경, 축사환경, 냄새저감 및 분뇨관리 등 축산환경 전반에 대해 평가하며, 지역별 예선평가부터 현장평가 및 최종심의 등 본선평가를 통해 14농가를 선정했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팜큐브(대표 박계영/사진)는 모돈 400두를 사육하는 양돈농장으로 깨끗한 돈사를 유지할뿐만 아니라 농장 주변 환경을 정비하고 꾸미는데 앞장서고 있다. 

 

일찍부터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았던 박계영 대표는 변화하지 않으면 도태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축산환경을 끊임없이 개선시켜 왔다. 그 결과 환경부 장관상에 해당하는 최우수상을 수상하게 됐다.

 

우수상을 수상한 제일축산영농법인(대표 김병삼/사진)은 축산 악취 저감을 위해 미생물, 효소제, 유산균 등을 활용하고 있으며 돈사 내 모니터링 장비를 도입해 암모니아 발생 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있다. 

 

청결한 축산환경을 위해 축사 설비 투자와 분뇨 악취 저감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은 결과 농림축산식품부의 ‘깨끗한 축산농장’ 지정을 받은 바 있다.

 

도드람은 조합원의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발벗고 나서며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분뇨처리와 냄새 저감을 실천하고 있는 우수농가 사례를 조합원들과 공유하고, 농가 환경에 맞는 컨설팅을 진행하며 환경 친화적인 양돈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

 

박광욱 도드람양돈농협 조합장은 “청정축산을 실천하며 많은 조합원들에게 귀감이 된 두 조합원들에게 감사드리며,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한다”라며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브랜드, 지역주민과 상생하는 농장 운영을 위해서 친환경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도드람은 앞으로도 조합원들을 위한 교육과 지원, 컨설팅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제5회 청정축산 환경대상 시상식은 3월 중 농협중앙회에서 진행된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