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대산농촌재단 창립 31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25일 개최

대산농촌재단(이사장 김기영)은 10월 25일(화)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 23층 컨벤션홀에서 '미래가 있는 농촌, 지속 가능한 농업'을 주제로 대산농촌재단 창립 31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탄소중립시대 2023년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EU의 공동농업정책(CAP)의 방향과 현장의 대응, 전문가로서 사회가 인정하는 농민을 양성하는 정규교육시스템과 재생에너지로 에너지자립 828%를 달성한 독일 지역 사례를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등을 살피고 기후위기, 식량 위기, 지역소멸의 위기에 직면해있는 한국의 사회와 농업 농촌이 당면한 과제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진다.

심포지엄 1부는 김기영 대산농촌재단 이사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신수경 사무국장이 2022년 대산농업연수에 대한 성과를 보고한 후, 2부에서 김창길 서울대학교 특임교수가 좌장을 맡아 본격적인 심포지엄을 이어간다.
 
2부 1세션에서는 'EU의 농업 농촌 정책과 국민의식'이라는 주제로 독일 바이에른주 켐프텐 시 전 농업국 국장 요셉 히머 박사 Dr.Josef Hiemer가 주제 발표를 하고, 이어 김정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이 농업 농촌 정책 흐름의 방향과 국민의식에 대하여, 이재식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정책과장이 직불제와 의무 사항 등 정부 정책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맡는다.

 


2세션에서는 '농민자격증, 품격과 책임'을 주제로 칼 립헤어Karl Liebherr 켐프텐농업직업학교 명예교감이 국가가 인정하는 전문가로서의 농민을 양성하는 농업직업학교 커리큘럼과 학생과 학교, 농업현장의 협력체계를 발표하고, 김현묵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교사가 한국의 농업교육과 현장, 김선아 한국농어민신문 농업부 국장이 청년농업인 육성정책과 과제에 관한 토론으로 이어간다.

3세션에서는 '지속 가능한 지역 공동체-에너지자립시市 빌트폴츠리트 사례 중심으로'를 주제로 토마스 프뤼거Tomas Pfluger 빌트폴츠리트 시의원이 재생에너지로 전기생산 828%를 달성한 에너지자립 시 빌트폴츠리트의 성공 요인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이 지속 가능한 농촌공동체와 에너지 전환 정책 과제, 임경수 협동조합 이장 부설 고산퍼머컬처센터장이 지역 공동체 유지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에 대해 토론할 예정이다.

이후 종합토론에서는 발표자와 지정토론자, 청중이 참여하여 ‘미래가 있는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폭넓은 의견을 나누는 협력과 연대의 장을 마련한다.

김기영 대산농촌재단 이사장은 “2022년 5월, 그동안 코로나19 여파로 중단되었던 농업연수를 3년 만에 재개해 11일간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의 농업정책과 농촌현장, 농민교육시스템 등을 살피고 돌아왔다”며, “유럽에서 만난 변화와 새로운 정보들을 많은 사람과 공유하고 확산하는 한편, 우리나라 각 분야 현장전문가들의 깊이 있는 논의를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과 농촌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이번 심포지엄을 기획했다”고 심포지엄의 취지를 설명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오프라인 행사로 독일어 발표와 순차 통역으로 진행한다. 참가를 원하는 사람은 10월 20일(목)까지 사전 예약이며, 행사장 인원 제한으로 조기 마감될 수 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우자조금, 독립유공자 후손에 따뜻한 나눔 실천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지난 10월 20일, 국가보훈부가 후원하고 광복회가 주최·주관한 ‘대한독립군 무명용사 추모제’ 현장에서 독립유공자 후손을 대상으로 한우 나눔 행사를 진행했다.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항일 무장독립 투쟁의 진정한 영웅인 수많은 무명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후손들에게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한우자조금이 광복회의 추모제에 나눔 실천으로 동참했다. 이번 행사를 통해 독립운동의 정신으로 우리의 정체성을 지켜온 독립유공자 후손들과 함께하며, 우리 전통 한우가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세대를 잇는 가치와 공동체 정신을 나누는 계기가 되었다. 이날 한우자조금은 행사 현장에서 독립유공자 후손 250명에게 한우 양념불고기 총 125kg을 전달했다. 이번 나눔은 광복회가 주최한 공식 행사 속에서 진행된 것으로, 독립운동 정신을 기리고 오늘의 자유와 번영을 가능케 한 희생에 보답하기 위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 이번 나눔 행사는 ‘한우 잇(EAT)다’ 캠페인의 일환으로, 한우자조금이 국민과 함께 역사적 의미를 공유하고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계기가 됐다. 앞으로도 다양한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나눔 활동을 통해 ‘국민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원예·특작 부문 ‘2025년 최고품질 농산물 생산단지’ 선정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원예·특용작물 분야 2025년 최고품질 농산물 생산단지 7곳을 선정했다. 최고품질 농산물 생산단지는 농촌진흥청, 지방농촌진흥기관 등에서 개발하고 육성한 채소, 과수, 화훼, 특용작물 품종을 재배·출하하며 우리 품종의 재배를 확대하고 우수성을 알리는 데 노력하고 있는 작목반, 연구회, 영농조합법인 등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있다. 대상(국무총리상)은 충남 논산의 ‘논산수박연구회 영농조합법인’이 수상했다. 최우수상(농림축산식품부장관상)에는 △아산시배연구회(충청남도 아산시) △영천국내신품종사과연구회(경상북도 영천시) △고창군수박연합회(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가 선정됐다. 우수상(농촌진흥청장상)은 △연천고려인삼영농조합법인(경기도 연천군) △청주시딸기연구회(충청북도 청주시) △익산딸기연구회(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가 받았다. 올해 대상을 받은 논산수박연구회영농조합법인(1999년 조직)은 2014년 전국 최초로 농업인이 출자하여 설립한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를 통해 체계적인 생산·유통관리와 품질 향상에 힘쓰며 당도 높은 수박을 생산하고 있다. 수박 가격 하락 시 자조금을 활용해 일정 금액을 보전함으로써 회원 농가의 부담을 줄이고, ‘차별 정산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