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안호영 의원 "농식품분야 해외인턴십 취업률 55% 불과" 지적

- 농식품분야 해외인턴십 시작 이후 참가자 162명 중 80명만 취업에 성공
- 해외인턴십 이후 취업률 ‘18년 79%, ’19년 60%, ‘20년 39%, ’21년 28%
- 코로나 영향으로 취업률 저조, 훈련받은 미래 글로벌 농업 인재들 지속 관심 필요

청년들에게 농식품분야 해외 실무경험 기회를 제공하여 글로벌 농업 인재로 육성하는 농식품분야 해외인턴십 참가자들 취업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해수위 안호영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완주·진안·무주·장수)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농식품분야 해외인턴십 사업이 시작된 이후 162명이 참가했고 참가자 중 80명(55%)이 취업에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농식품분야 해외인턴십은 농식품부가 청년들을 농식품 분야 국제기구, 해외연구소 및 기업 등에 파견해 해외실무 경험을 쌓게 하고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로 육성하기 위해 2018년부터 시행되었다.

사업 시작 첫해인 2018년에는 51명이 해외인턴십에 참가했고, 2019년 49명, 2020년 19명, 2021년에는 43명이 참가하였다. 올해는 52명이 파견될 예정이다.

연도별 참가자 취업 현황을 보면, 2018년 참가자 51명 중 37명(79%)이 취업을 했고, 2019년에는 49명 중 25명(60%)이 취업을 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에는 선발 인턴들이 국내 대체근무를 추진하면서 책정 인원 40명 중 절반이 포기하였고, 참가자 19명 중에서도 취업을 한 경우는 7명 39%에 불과하였다. 2021년에는 60명을 선발했지만 실제 파견은 43명이 이뤄졌고, 이중 11명 (38%)만 취업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호영 의원은 “지난 2년간 코로나19 확산으로 해외 현지 파견이 어려워지면서 농식품분야 해외인턴십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했고 취업률도 저조하였다”고 지적하며 “해외인턴십을 통해 훈련받은 미래 글로벌 농업 인재들이 경험을 살려 농업 분야 국제기구나 글로벌 기업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산림청, 청년들... 6개월 동안 자투리땅에 꿀벌 살리는 정원 만들어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있는 국립정원문화원에서 ‘2025년 정원드림프로젝트’ 시상식을 가졌다고 3일 밝혔다. ‘정원드림프로젝트’는 2020년부터 정원 분야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산림청과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 함께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지역의 유휴 공간을 활용해 정원기획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직접 수행하며 실무 역량을 쌓는다. 올해 프로젝트는 ‘폴리네이터 가든 : 정원으로 회복되는 도시’를 주제로 도시 정원에서 살아가며 식물들이 열매를 맺을 수 있게 도와주는 꿀벌, 나비 등 수분 매개 생물들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기획됐으며, 서울, 대전, 세종, 경기 평택, 전북 전주 등 5개 권역에서 125명의 청년이 6개월간 25개의 정원을 완성했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세종시 보람동에 부산대학교 ‘토모’팀이 조성한 ‘잔향 : 향이 피어나는 향원(香園)’ 정원이 창의적인 디자인과 뛰어난 현장 완성도를 인정받아 농림축산식품부장관상을 받았으며, 경희대학교 ‘그린버디즈’팀, 동아대학교 ‘위플래시’팀이 산림청장상을 수상했고, 국립공주대학교 ‘뇽운뇽’팀, 서울여자대학교 ‘마중풀’팀, 전북대학교 ‘자란다’팀이 각각 한국수목원정원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