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돼지농장 긴급비상"...한돈협회도 비상체계 돌입

- 손세희 회장 “사육돼지에서 고열, 식욕부진, 폐사 등 열병 의심될 경우 즉시 신고하여 줄 것” 재차 당부
- 한돈협회 "정부의 과도한 조치로 농가피해 되풀이 않되도록 과학방역 제시할 것"
- 민간 ASF방역대책 T/F 설치, ASF 농가행동지침 긴급 배포
- 경기지역 ASF 잇따른 발생 전국 확산 고비...한돈농가 행사 전면 취소 및 연기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경기 김포, 파주 돼지농장에서 연이어 ASF 발생 확진됨에 따라 민간 ASF방역대책 T/F를 설치하고, ASF농가행동지침을 긴급배포하는 등 긴급비상근무 체계로 전환했다. 또한 개최예정이었던 각 지역 한돈인 한마음대회, 한돈농가 관련 교육 및 행사 등을 전면 취소 또는 잠정연기키로 했다고 밝혔다.

먼저, 협회는 국내 최고의 방역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성해 협회 차원의 T/F를 긴급히 운영키로 하고, 9월 29일 오후 긴급화상회의를 개최한다.

협회는 고상억 한국양돈수의사회장, 정현규 도드람양돈연구소장 등 국내 수의방역 전문가들과 함께 이번 ASF 발생에 따른 대책을 모색하는 한편, 정부의 과도한 행정조치에 따른 농가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과학적 방역 대책을 제시할 계획이다.

둘째, 협회는 최근 ASF 발생상황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한돈농가에 주지시키는 한편, 농가 스스로 방역의식과 차단방역을 재점검할 수 있도록 한돈농가 모임 및 행사 자제, 차단방역 및 농장소독 철저, 의심신고 철저 등의 내용을 담은 ASF 농가행동지침을 마련하여 농가에 긴급 배포했다.

 


셋째, 협회는 강원 춘천 ASF 발생 직후부터 긴급 상황실을 운영하고 발생상황 및 대책 등을 가장 발빠르게 농가 전파에 힘쓰고 있다.

협회는 농가 전용 푸시앱을 이용하여 ‘ASF 일시이동중지명령’과 같은 ASF 발생관련 긴급속보 및 공지사항 등을 전파하고 있으며 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정부 보도자료 및 농가 계도사항을 공지하고 있다.

넷째, 협회는 연이어 긴급 회장단 회의와 이사회를 개최하여 발생현황을 진단하고 농가 차단방역 및 소독 강화 등 방역조치 추진상황 및 대응방안을 점검하는 등 각 도협의회와 긴밀한 연계를 통해 농가의견을 수렴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손세희 회장은 “협회는 이번 ASF 발생이 ASF 전국확산 위기의 기로라고 판단하고, 발생현황과 농가 방역태세를 점검하는 한편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히고, “전국 돼지농장에서도 철저한 농장소독과 차단방역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하면서, “사육 중인 돼지에서 고열, 식욕부진, 폐사 등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 사례가 확인될 경우 즉시 가축방역기관에 신고하여 줄 것”을 재차 당부하였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원, 지역농협과 손잡고 폭염 안전캠페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최근, 전북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익산원예농협 본점에서 익산원예농협과 공동으로 폭염 대응 및 기후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 캠페인을 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늦더위가 일상화되면서,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과 농업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농진원은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지역 중심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이번 캠페인에는 농진원 및 익산원예농협 직원 등 관계자 15명과 지역 주민들이 동참했다. 현장에서는 농업인과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응급조치 요령이 안내됐으며, 폭염 상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폭염 안전 5대 수칙’을 중심으로 한 홍보 활동이 전개됐다. 이와 함께 양산, 생수, 보냉컵 등 폭염 대응을 위한 안전 물품이 배부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폭염 안전 5대 수칙’은 충분한 물 섭취, 바람과 그늘 활용, 규칙적인 휴식, 보랭 장구 사용, 응급조치 숙지로 구성돼 있다. 또한, 농진원은 캠페인 현장에서 자체 안전 인프라와 대국민 서비스를 함께 소개했다. 종합분석동 로비에 마련된 무더위 쉼터 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