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장내 미생물 다양성 돕는 열대 과일 있다

 -아보카도 하루 1개씩 3달 먹었더니,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증가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줄면 당뇨병ㆍ비만 위험 커져
 -미국 건강 전문 웹미디어 ‘베리웰 헬스’, 아보카도 집중 소개

 

 열대 과일인 아보카도가 장내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미생물이 이루고 있는 생태계)의 다양성을 높여 장 건강을 돕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밀림의 버터’로 통하는 아보카도는 혈관 건강에 이로운 불포화 지방, 변비 예방을 돕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과일로 알려져 있다. 


 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미국의 건강 전문 웹미디어 ‘베리웰 헬스’(Very Well Health)는 ‘아보카도 섭취가 건강한 장(腸) 유지를 돕는다는 새 연구 결과가 나왔다’(New Research Shows Eating Avocados Supports a Healthy Gut)는 제목의 4일자 기사를 통해 아보카도의 다양한 건강상 효능을 소개했다. 


  이 기사는 ‘영양학 저널’(Journal of Nutrition)에 실린 미국 어바나-샴페인 소재 일리노이대학 연구진이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인 25~45세 성인 163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삼고 있다. 연구진은 참가자를 매일 아보카도 1개 섭취 그룹과 미(未)섭취 그룹 등 두 그룹으로 나눴다.

12주 아보카도 섭취 그룹의 장에 좋은 미생물이 더 많이 존재했다. 아보카도 섭취 그룹은 미섭취 그룹보다 대변에서 약간 더 많은 지방을 배설했다.

 

이는 섭취한 음식에서 칼로리를 더 적게 흡수한다는 것을 뜻한다. 아보카도 섭취 그룹이 미섭취 그룹보다 칼로리를 약간 더 많이 섭취했지만 12주 후 두 그룹 간 체중 차이는 없었다.
 장 마이크로바이옴은 장에 서식하는 미생물 집단을 가리킨다. 사람의 위장관엔 세균ㆍ바이러스ㆍ곰팡이 등을 포함해 약 100조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 


 다양한 마이크로바이옴을 갖고 있다는 것은 장에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다양성이 감소하면 염증성 장질환ㆍ관절염ㆍ당뇨병ㆍ아토피 습진ㆍ셀리악병ㆍ동맥경화ㆍ비만 위험이 커진다. 


 아보카도가 장 건강에 유익한 것은 각종 장내 유익균의 먹이가 되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식이섬유는 소화 속도를 늦춰서 포만감을 더 길게 느끼도록 하므로 비만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아보카도 1/3개엔 약 3g의 식이섬유가 들어 있다. 국제의학연구소(IOM)는 하루에 식이섬유를 19∼38g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아보카도에 함유된 식이섬유 중엔 펙틴(pectin)도 있다. 펙틴은 유산균 등 장내 유익균(프로바이오틱스)의 훌륭한 먹이가 된다. 혈관 건강에 이로운 불포화 지방이 풍부하다는 것도 아보카도의 강점이다. 나하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협-한국배구연맹, '쌀 소비촉진 및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업무협약' 체결
농협(회장 강호동)은 한국배구연맹(총재 조원태)과 18일 서울 마포구 한국배구연맹 대회의실에서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박서홍 농업경제대표이사, 조원태 한국배구연맹 총재, 신무철 사무총장, 배구선수 정지석과 양효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쌀 소비촉진 및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프로배구 경기와 연계한 쌀 소비 홍보 ▲연맹 소속 구단 및 선수 대상 아침밥 먹기 운동 동참 ▲농협의 쌀과 쌀 간편식을 활용한 건강한 식습관 확산 ▲KOVO컵 타이틀 스폰서 참여 ▲농협 쌀을 활용한 균형 잡힌 식단 공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농협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2025 KOVO컵 프로배구대회’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한다. 대회기간 동안 '행복米밥차를 운영하고, 경기장 광고와 전광판을 활용해 쌀 소비촉진 캠페인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또한, 선수단과 팬이 함께하는 아침밥 먹기 캠페인, 다양한 현장 이벤트 등을 진행해 건강한 식문화를 확산시킬 예정이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8월 18일 쌀의 날에 한국배구연맹과 쌀 소비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된 만큼, 많은 배구팬들이 쌀의 가치를 이해하고, 건강한 한 끼의 중요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