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장내 미생물 다양성 돕는 열대 과일 있다

 -아보카도 하루 1개씩 3달 먹었더니,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증가
 -마이크로바이옴 다양성 줄면 당뇨병ㆍ비만 위험 커져
 -미국 건강 전문 웹미디어 ‘베리웰 헬스’, 아보카도 집중 소개

 

 열대 과일인 아보카도가 장내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미생물이 이루고 있는 생태계)의 다양성을 높여 장 건강을 돕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밀림의 버터’로 통하는 아보카도는 혈관 건강에 이로운 불포화 지방, 변비 예방을 돕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과일로 알려져 있다. 


 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미국의 건강 전문 웹미디어 ‘베리웰 헬스’(Very Well Health)는 ‘아보카도 섭취가 건강한 장(腸) 유지를 돕는다는 새 연구 결과가 나왔다’(New Research Shows Eating Avocados Supports a Healthy Gut)는 제목의 4일자 기사를 통해 아보카도의 다양한 건강상 효능을 소개했다. 


  이 기사는 ‘영양학 저널’(Journal of Nutrition)에 실린 미국 어바나-샴페인 소재 일리노이대학 연구진이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인 25~45세 성인 163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삼고 있다. 연구진은 참가자를 매일 아보카도 1개 섭취 그룹과 미(未)섭취 그룹 등 두 그룹으로 나눴다.

12주 아보카도 섭취 그룹의 장에 좋은 미생물이 더 많이 존재했다. 아보카도 섭취 그룹은 미섭취 그룹보다 대변에서 약간 더 많은 지방을 배설했다.

 

이는 섭취한 음식에서 칼로리를 더 적게 흡수한다는 것을 뜻한다. 아보카도 섭취 그룹이 미섭취 그룹보다 칼로리를 약간 더 많이 섭취했지만 12주 후 두 그룹 간 체중 차이는 없었다.
 장 마이크로바이옴은 장에 서식하는 미생물 집단을 가리킨다. 사람의 위장관엔 세균ㆍ바이러스ㆍ곰팡이 등을 포함해 약 100조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 


 다양한 마이크로바이옴을 갖고 있다는 것은 장에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다양성이 감소하면 염증성 장질환ㆍ관절염ㆍ당뇨병ㆍ아토피 습진ㆍ셀리악병ㆍ동맥경화ㆍ비만 위험이 커진다. 


 아보카도가 장 건강에 유익한 것은 각종 장내 유익균의 먹이가 되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식이섬유는 소화 속도를 늦춰서 포만감을 더 길게 느끼도록 하므로 비만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아보카도 1/3개엔 약 3g의 식이섬유가 들어 있다. 국제의학연구소(IOM)는 하루에 식이섬유를 19∼38g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아보카도에 함유된 식이섬유 중엔 펙틴(pectin)도 있다. 펙틴은 유산균 등 장내 유익균(프로바이오틱스)의 훌륭한 먹이가 된다. 혈관 건강에 이로운 불포화 지방이 풍부하다는 것도 아보카도의 강점이다. 나하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