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aT 유통혁신의 새로운 도약 다짐!

농수산물 유통혁신과 식품산업육성의‘엔진’본격 작동, 연간 8천명 교육

농식품유통교육원 확장 신축, 준공식 갖고 새로운 도약 다짐

지상 4층 규모, 최첨단 교육기자재․전문자료실․교육정보시스템 등 갖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김재수)는 지난 1년간의 시설현대화 공사를 마치고 ‘농식품유통교육원’ 준공식을 27일 가졌다. 이날 준공식에는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윤명희 국회의원, 농림식품교육발전협의회 8개 교육기관장, 교육 수료생, 유관기관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국내 최초의 농수산물 유통교육 전문기관으로 1985년에 개원한 ‘농식품유통교육원’은 농수산물 유통혁신과 식품산업 육성을 이끌 전문인력 양성교육에 주력해 현재까지 약 12만명을 배출하였고, 이들은 전국 각지의 농수산물 유통과 식품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aT 농식품유통교육원은 120억원을 들여 약 16,000㎡ 부지에 지상 4층 규모, 면적 약 8,200㎡로 건립됐다. 새로이 단장한 교육원은 강의실, 세미나실, IT교육장, 대강당, 교육생 생활관, 구내식당, 전문자료실, 체력단련실 등 최신식 교육시설과 스마트칠판, 영상시설, 교육정보시스템 등 최첨단 교육기자재를 갖추고 있어 보다 쾌적한 환경 속에서 교육효과를 높여 연간 8,000여명을 교육할 예정이다.

김재수 aT 사장은 “모든 공공 교육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함에 따라 수도권 유일의 농식품 전문교육기관인 만큼 이번 신축 교육관 준공을 맞아 새로이 도약하는 계기로 삼아고객중심의 보다 강화된 현장실무 교육을 통해 창조농업을 실현할 핵심리더 양성’에 더욱 매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