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플라스마’로 잔류 농약 분해 기술 개발

최대 90 % 이상 분해…추가 연구 통해 현장 보급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신개념물질인 ‘플라스마’를 이용해 농산물 중 잔류 농약을 분해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플라스마(Plasma)는 기체 상태의 물질에 계속 열을 가해 만든 이온과 전자의 집합체로, 고체, 액체, 기체와 더불어 ‘제4의 물질’이라고 불린다. 이 물질은 극고진공에서부터 대기압까지 다양한 조건에서 작동하며, 각 조건에 따라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기술도 개발돼 바이오, 나노, 정보기술, 환경기술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그동안 플라스마는 외국에서 달걀을 살균 처리하는데 이용돼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축산 가공처리용으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플라스마 발생장치에 농산물을 넣고 플라스마를 발생시켜 농산물 잔류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이다. 이 기술을 적용해 대기압 조건에서 작동하는 플라스마 장치에 농산물을 3분 동안 넣고 농산물에서 자주 검출되는 농약 60여 종에 대해 분해 효과를 실험한 결과, 대상 농약의 90 % 이상이 분해됐다.

실제 농산물처리센터에서 활용 가능한 원격코로나방전플라스마제트(remote corona discharge plasma jet, R-CDPJ) 기술을 적용하면 고추, 토마토, 사과 등에 잔류돼 있는 농약의 40∼80 %가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기존의 농산물 잔류 오염물질 제거방법 중 하나인 오존처리방법에 비해 환경 친화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처리 후 별도의 세척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돼 장기간 유통이 필요한 농산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플라스마 처리에 의한 농산물 중 잔류 농약 분해 기술’에 대해 특허 출원했으며,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해 농산물 가공처리 센터 등에 보급할 계획이다. 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