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감귤 신품종 ‘신예감’ 입맛 끌어 당김!

농진청, 12월 하순부터 수확 가능, 당도 높고 신맛 덜해 인기예감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12월 하순부터 수확이 가능한 고품질의 감귤 ‘신예감’ 품종을 개발해 품종보호출원을 마치고 지난 8월 통상 실시가 이뤄져 내년 봄부터 농가에 보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발된 감귤 ‘신예감’은 온주밀감 수확이 끝나는 12월부터 이듬해 2월 수확되는 만감류가 나오기 전까지 수확이 가능한 품종으로 동해를 받지 않는 무가온 하우스에서 12월 하순에 성숙되므로 저비용 재배가 가능하다.‘신예감’은 2002년 ‘청견’과 ‘윌킹’을 교배해 2008년에 최초로 착과시켰으며 감귤주산지역 4개소에서 지역적응시험을 통해 특성검정을 마쳐 2012년 품종보호출원을 완료했다. 성숙기의 당도는 12브릭스 내외이고 산 함량이 1.0% 이하로 산 함량 감소가 빠른 편이나 산 함량이 줄어도 식미감이 우수하다. 과실무게는 평균 130∼150g 정도이고 껍질이 잘 벗겨진다. 이 품종은 모양도 좋아 완숙됐을 때 붉은 오렌지색을 띄며 과실 껍질이 뜨는 현상도 없기 때문에 숙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강점이 있고 추위에 강해 무가온으로도 과실 속마름 증상 없이 월동이 가능하다. 또한 나무가 잘 자라며 열매가 잘 달려 토양을 건조하게 관리하면 당도를 제 특성보다 높일 수 있는 강점을 갖고 있다.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 고상욱 연구관은 “감귤 ‘신예감’은 제주감귤농업협동조합과 통상실시가 이뤄져 묘목 보급이 가능하므로 원활한 보급이 이뤄지도록 영양체 공급은 물론 재배적으로 보완을 필요로 하는 핵심 요구사항을 해결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박시경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