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황금쌀알을 찾아라', '행운의 밥주걱 찾아라'

한국쌀가공식품협회, 10일간 쌀토리랑Day 아침대용식 '컵구운밥 나눠주기' 방문자들에게 주방용 장갑 등 푸짐한 사은품 증정

 

한국쌀가공식품협회는 최근 쌀토리랑Day를 개최했다. 8일까지 월요일을 제외한 10일 동안 열리는 이번 행사는 지난해 2월 오픈한 쌀가공제품 상설 전시·판매·홍보관인 '쌀토리랑'을 널리 알리고 쌀가공품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협회는 이 기간 동안 쌀토리랑을 방문하는 고객들에게 매일 150명씩 총 1,500명에게 선착순으로 푸짐한 사은품을 제공한다. 사은품은 고급 주방용 장갑, 컵구운밥+컵쌀국수, 뽀로로 오곡 초코로핀+라이스붓세이다. 컵쌀국수와 컵구운밥은 직장인들이 아침 대용식으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뽀로로 오곡초코로핀은 아이들이 좋아하고 라이스붓세는 젊은 여성들에게 좋아하여 쌀토리랑에서 인기 좋은 쌀가공식품들이다.

특히 쌀가공 제품을 한개 이상이라도 구매하는 고객들에게는 '황금쌀알을 찾아라'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 또한 협회는 직장인들이 간식시간에 건강에도 좋은 쌀로 만든 간식을 먹을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 '간식을 쏩니다'라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참가방법은 쌀토리랑 주변 직장인이 쌀토리랑을 방문하여 이벤트에 신청(명함으로 신청)하면 오후 3시 무렵 추첨을 통해 무료로 10여 가지의 쌀가공제품을 담은 간식 박스를 직접 사무실까지 배달해준다.

협회는 아침과 점심 게릴라 홍보를 개최한다. 서대문 인근과 정동길 주변에서 아침 일찍 출근하는 직장인 100명에게 '컵구운밥'을 나눠주고 점심시간 전후에는 쌀토리랑을 알리기 위한 '행운의 밥주걱을 찾아라' 등 길거리프로모션을 개최한다. '행운의 밥주걱을 찾아라'는 뽑기 형태의 게임으로 게임통에 들어있는 밥주걱을 잘 뽑으면 '컵구운밥+라이스붓세', '구운밥' '컵쌀국수' '라이스붓세'를 공짜로 얻을 수 있다. 강성수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