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홍릉숲! 다양한 프로그램 주목!

국립산림과학원, 최우수 공공서비스 대상

최근 숲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만큼 숲을 활용한 대국민 맞춤형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우리에게 숲은 삶터, 일터, 쉼터가 되는 존재이다.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윤영균)의 ‘홍릉숲 프로그램’도 그중 하나다.

올해는 숲해설, 숲학교, 홍릉숲 음악회, 미래 푸르미 과학자, 아토피 교실 등 11개 세부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특히 ‘홍릉숲 프로그램’은 숲의 역할과 중요성을 홍보하고 숲이 주는 혜택을 다양한 계층에 제공하고자 마련된 서비스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찾는 휴식 공간임과 동시에 육체적.정신적 치유 효과를 얻는 체험 공간으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를 받아왔다.

그 결과로 국가경제 발전 및 국민권익 신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정받아 ‘2013 대한민국 최우수 공공서비스 대상’을 수상(11.5)하는 영광을 얻었다.

‘2013 대한민국 최우수 공공서비스 대상’은 매경미디어그룹이 주최하고 기획재정부, 안전행정부, 대한상공회의소, 동반성장위원회가 후원하며, 공공기관의 우수서비스 사례를 선정, 그 활동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격려하고자 기획됐다.

그 밖에 이날 시상식에는 국립산림과학원을 비롯한 2개 국가기관과 13개 출연기관 및 단체, 6개 지자체 등 21개 기관이 참석, 수상의 영예를 함께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 이경학 과장은 “국민 각계각층의 요구를 반영, 홍릉숲에서만 찾을 수 있는 질 높은 산림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했다”며 “이번 수상을 계기로 시민이 보다 다양한 산림 문화 활동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발전해나가겠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나남길/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