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농우바이오, 유연희 회장 취임, 유회장 “글로벌 국민기업 소명 다할 것”

그룹사 임원 참석, 검소한 취임식

농업회사 법인 (주)농우바이오 제2대 회장에 유연희(65) 고 고희선 명예회장 미망인이 취임, 제2기 경영을 선언 했다.

4일 라마다프라자수원호텔 메이플오크룸에서 개최된 회장 취임식에는 그룹 임원 40여명이 참석, 유회장 취임을 축하하고 농우바이오의 글로벌 미래 가치 경영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선대 고 고희선 회장의 묵념으로 시작된 취임식은 신임회장 소개, 취임사, 축하 꽃다발 증정, 임원 상견례 순으로 40여분 엄숙하면서도 감성적으로 진행됐다.

취임사에서 유회장은 “선대 회장과 함께한 반세기 농우는 자신의 삶과도 같다”고 밝힌뒤 “고비고비때 마다 살신성인의 정신으로 어려움을 극복했듯이 유지를 받들고 궤적을 따라 농우바이오를 더 큰 반석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주어진 소명에 성심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 했다.

한편 취임식은 선대 회장이 강조 했던 근검을 실천하기 위해 그룹내 임원만이 참석한 조출한 형태로 진행돼 눈길을 끌었다.

유회장은 특히, 임원 상견례에서 플로어에 앉아 있는 임원들을 일일이 찾아가 악수를 나누며 격려와 도움을 요청하는 등 첫 행보를 시작했다.

한편, 유연희 회장은 1971년 창업주인 고 고희선 회장과 결혼하여 42년간을 한결같은 내조로 농우바이오를 성장 발전시키는데 일등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회사가 어려움에 처할 때 마다 남편의 든든한 후원자로 용기를 주었으며, 스스로도 근검생활로 회사와 가정의 모범이 되기도 했다. 슬하에 1남4녀를 두고 있다.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