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중국 현장을 가다!

현장보고!..... 韓中FTA 체결을 앞두고 농산물시장의 이해득실을 따진다!

‘위기와 기회 공존’...1억7천만톤 사료시장 공략할만!

중국, ‘국토면적 96배, 경지면적 71배, 총인구 28배, 농림어업자수 178배, 식량작물 생산량 114배, 소 34배, 돼지 47배 ’

 

우리나라와 비교조차 불가능한 중국과의 FTA(자유무역협정)가 목전에 두고 있다. 한·중 FTA 2차 실무협상이 이달 초에 착수됨에 따라 농축산업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미 지난 9월 1단계 기본지침에 대한 합의가 마무리 되고 이달부터 민감품목 선정을 위한 협상에 들어간다.

특히 중국 축산은 우리에게는 악성 가축질병 발생국으로서 그동안 논외의 대상이었다. 중국 축산물이 우리 시장을 위협하리란 생각도 크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한·중 FTA가 가시화 되면서 바뀌었다.

중국이라는 거대시장이 우리나라 농축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할까. 막연한 불안감에 휩싸이기 보다는 중국 농축산업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가 필요한 때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중국 축산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2일까지 6일간에 걸쳐 지역 농축산단체장 및 후계농업인을 대상으로 ‘중국시장 현지조사’를 실시했다.

북경을 시작으로 제남, 청도, 상해까지 이르는 방대한 일정 속에 천진 채홍사료유한공사, 대상식품유한공사, 월마트, 왕진재래시장, 대발사료, 대지육우청진식품유한공사, 애특물류기자, 한중식품연구소, 상해 롱우수입과일도매시장, 손교 현대농업개발구, 상해 지우광백화점 등을 소화하며 보고 느꼈던 중국 축산의 모습과 중국시장 개척을 위한 우리의 노력을 전한다. 이번 현장취재는 박유신 기자가 출입기자단 공동취재를 맡았다. 현장을 전한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