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출하대금 ‘떼먹는 일(?)’...어림없다!

가락동 도매시장 ‘비상장품목’ 출하대금 정산조직 11월 설립

비상장농산물 거래 안전성 높이고 도매시장법인간 경쟁촉발 기대

정부는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농산물 거래 안전성 제고를 위해 가락동 농산물도매시장에 비상장품목 대금정산조직을 11월에 설립한다고 밝혔다. 정산조직은 자금 관리의 투명성 확보 및 효율성 제고 등을 위해 상법상 주식회사 형태로 설립되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와 (사)농산물비상장품목정산조합이 각각 50%씩 균등 출자하여 도매시장관리자와 중도매인이 공동으로 관리와 운영을 책임지게 된다. 대금정산은 출하자가 비상장품목 중도매인에게 농산물을 출하 경우 대금정산조직이 출하자에게 판매대금을 즉시 선 지급(현재는 중도매인이 통상적으로 출하자에게 3일이내에 판매대금 지급)하고 7일 이내에 해당 중도매인으로부터 대금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연간 정산소요자금은 약 130억원 수준으로 추정되며, 이를 마련하기 위해 30억원은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와 중도매인들이 각각 15억원씩 출자하여 마련하고, 나머지 100억원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원(농안기금, 100% 융자)하였다. 비상장품목 거래금액은 전체 도매시장 거래금액의 약 7%(‘11년 준)인 6,7

00억원 수준이며, 그중 약 70%인 4,700억원이 가락동 농산물도매시장에서 거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금정산조직이 설립됨에 따라 비상장품목 거래시 정산자금의 투명성과 안전성이 제고되어 출하자들의 만족도와 신뢰도가 높아진다. 또 중도매인은 산지출하처와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에 이중으로 담보금을 예치할 필요성이 사라져 자금 유동성 부족문제가 해결된다. 뿐만 아니라, 행정적인 면에서는 효율적인 대금정산 관리․감독 체계가 확립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남길/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