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협사료 판매가격 조사결과, 같은 제품도

판매 조합별로 한포당 최대 1,080원까지 차이나!

농협중앙회의 자회사이자 국내 최대 사료업체인 농협사료에서 2013년 10월 15일부터 16일 양일간 전국 32개(광역자치단체별 5곳 내외) 조합을 대상으로 사료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같은 제품임에도 지역 농·축협별로 25Kg, 1포당 최대 1,080원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 신성범 의원(새누리당, 산청·함양·거창)은 10월 18일 농협중앙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농협사료에서 조사하여,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역 농·축협에서 판매하는 농협사료의 판매가가 지역별로 천차만별이다.”, “농협사료에서 출고할 때부터 축산농가로 들어갈 때까지 다양한 부분에서 가격차이가 발생하고 있는데, 농협사료에서 지역 농·축협으로 이동시 거리별 수송비 차이, 조합에서 농가로 배달될 때 거리별 수송비 차이, 조합별 마진율 차이, 선입금·현금·외상 거래방식 별 차이로 인해 같은 제품이 최대 1,080원까지 차이가 나게 된다”고 밝혔다.

이러한 차이는 결과적으로 영세한 축산농가에게는 그야말로 치명타로 작용하는 된다. 아무리 소를 잘 키우려고 노력해도 사료가격에서 이미 차이가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축산농가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부추기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질타했다.

선입금, 현금, 외상 거래에 따라 가격에 차이를 두는 것은 자금이 넉넉하고 재정이 탄탄한 농가는 선입금을 많이 넣고 사료를 싸게 쓰지만 영세한 농가는 이들이 혜택 보는 만큼 사료값에 대해 부담을 지게 되는 구조로 근절방안 마련을 서둘러 줄 것도 촉구했다. 나남길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