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팜스코, 한우농장 경쟁력 높이자

축우사료 우수성 인정… ‘우수농장 필드데이’

 
(주)팜스코(대표이사 정학상)는 최근 경남 밀양 화랑뷔페웨딩홀에서 '팜스코 우수농장 필드데이' 행사를 개최했다. 밀양지역 축우농가 70여명의 사양가들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는 밀양지역의 팜스코 평균성적과 최우수농가 4농가의 실증사례를 통해 한우농가의 경쟁력의 방향을 제시해 큰 관심을 받았다.

 


팜스코 우수목장중 하나인 권순영 사양가는 현재 550두를 일괄로 사육중이며, 1등급이상 출현율 92.9%로 전국평균인 83.8%대비 9.1%나 더 높은 출현율과 출하개월 전국평균 31.5개월 대비 75일이나 단축시킨 29개월, 도체중 449kg, 등심면적 90.5m2, 근내지방 5.8 등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출하한 69두 만으로 전국대비 74백만원의 추가수익을 가져갔다.


또 김영석사양가는 1등급이상 출현율 100%기록으로 전국평균대비 16%나 높은 성적과 평균 등심단면적이 100m2을 넘는등 국내평균성적을 훌쩍 뛰어넘는 우수한 성적으로 밀양지역에서도 손꼽는 우수농가로 인정받고 있다.


김영석 대표는 “항상 사료회사들은 갑을관계가 뚜렸 했으나 팜스코는 농장과 함께 상생하려는 노력과 이런 생사들이 농가를 먼저 생각하는 것 같아서 좋다” 며,“팜스코와 거래하며 꾸준한 등급 출현으로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고 밝혔다.


추정우 동부 축우ISM은 “수입육과의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생산비 감축, 출하일령 단축, 등심면적과 육량 개선을 통해 추가수익을 창출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밀양지역 우수농장 필드데이는 팜스코 축우사료의 우수성을 입증하며 많은 호응속에 마무리되었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