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한·일 공동 막걸리의 날’ 선포

햅쌀막걸리 출시 홍보행사 개최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김재수)는 10월 31일 ‘막걸리의 날’을 맞아 일본 도쿄 소재 아오야마 아키텍트카페에서 일본 언론사 및 현지 막걸리 유통업체 관계자들을 초청하여 ‘한일 공동 막걸리의 날’선포식을 갖고 햅쌀막걸리 출시 홍보행사를 개최한다.

농림축산식품부와 aT는 2011년부터 매년 10월 마지막주 목요일을 ‘막걸리의 날’로 지정하여 전국적으로 동시에 햅쌀막걸리를 출시하고 시음행사를 개최해왔다. 올해부터는 막걸리 주수출국인 일본에서 막걸리의 날 홍보행사를 동시 개최하는 것이다.

이번 행사에는 국순당 등 7개 수출업체가 참여하여 20여종의 햅쌀막걸리를 한국과 동시 출시한다. 또한 일본요리계의 최고봉으로 손꼽히는 미치바 로쿠사부로씨가 일일 막걸리홍보대사로 출연하여 자신이 창안한 막걸리 요리와 안주를 소개하며 막걸리가 일식에도 잘 어울린다는 점을 홍보할 계획이다. 특히 2부 행사 시음회때는 한국과 일본간 막걸리 동시건배를 인터넷 생중계하여 막걸리의 날을 집중 부각할 예정이다.

박종서 aT 식품수출이사는 “일본내 무알콜음료 및 저도주 선호 현상으로 인해 막걸리 수출이 막걸리 붐 이전 수준으로 위축되었다” 면서 “이번 한일 공동 막걸리의 날 선포를 계기로 햅쌀막걸리 출시행사를 정례적으로 개최하여 일본내 막걸리의 위상을 높이고 신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