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고희선그룹’ 창업…고준호 초대 그룹회장 취임, 강소기업 제2창업 선언

Only One 보다 all Together, ‘공존’ 키워드로 적극 경영 시동


고희선그룹창업

고준호 초대 그룹회장 취임, 강소기업 제2창업 선언

Only One 보다 all Together, ‘공존키워드로 적극 경영 시동

 

종자주권 선언으로 국내 종자 산업을 지켜냈던 경산 고희선 회장 유지인 종자보국-농업 100년 대계(大計)’가 대를 이어 꽃 피우게 됐다.

1223, 고 고희선 회장의 장남 고준호씨(33)<고희선그룹>창립과 함께 초대 회장에 취임했다. 신임 고 회장은 이날 경기도 수원 호텔 캐슬에서 개최된 그룹창립 선언 및 회장 취임식에서 부친 유훈을 잇는 정통성을 가진 유일한 그룹임을 선포 했다.


행사는 그룹 CI선포에 이어, 취임사, 기념사, 축하 꽃다발 전달, 축가 등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시간여 진행됐다. 취임사를 위해 연단에 오른 고 회장은 “‘종자가 부친께 숙명이었듯이, 이제 운명이 되어 제2창업을 결심하게 됐다고 비장함을 밝혀 장내를 숙연하게 했다.


아버지 뜻이 헛되지 않도록 더욱더 갈고 닦아 빛나는 보석이 되게 하겠다고 강조하고, 농민은 물론, 국민 식탁에 건강을 담는 강소기업으로 성장시켜나가겠다고 취임 포부를 밝혔다. ‘Only One 이전에 All Together를 지향하겠습니다!'

공존을 키워드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서 고 회장은 참석자들과 일일이 인사를 나누는 등 소통 행보로 축하와 격려 분위기를 이어갔다.


공식 출범한 <고희선그룹>, 고희선 회장인 설립한 ()PPS를 비롯해 그린텍, 농우농산, 경산장학재단 등 비 농우바이오 계열회사를 하나로 묶은 그룹사 형식이다.관계사 모두는 2015년부터 <고희선그룹>을 공동 브랜드로 사용해 적극 마케팅에 나선다.



부친의 이름을 그룹명으로 사용한 것과 관련, 1998IMF 위기 때 종자주권선언으로 국가적 반향을 일으켰던 숭고한 의지를 그대로 계승하고, 선친이 이루고자하셨던 종자보국신념을 담고자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준호 회장은 고 고희선 창업자와 유연희 여사 사이에 14녀 중 막내로 태어나 2009, 전신인 농우바이오에 입사해 실무를 익혀오던 중 지난해 고희선 회장의 갑작스런 별세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부인 손민경씨와 슬하에 2녀를 두고 있다. 문화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