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협중앙회, 국내산 축산물 군납 대폭 확대!

축산업계 숙원사항인 수입쇠고기 급식기준량 완전 삭제, 쇠고기 1만두, 돼지고기 3만두, 오리고기 10만수 급식 확대

농협, 국내산 축산물 군납 대폭 확대!

축산업계 숙원사항인 수입쇠고기 급식기준량 완전 삭제

쇠고기 1만두, 돼지고기 3만두, 오리고기 10만수 급식 확대

 

농협 축산경제(대표이사 이기수)는 국방부로부터 2015년 군 급식방침이 확정 통보(19)되었다고 밝혔다.

방침에 따르면 2015년부터 군 급식에서 수입쇠고기 기준량이 완전히 삭제되고 100% 국내산 쇠고기로 공급하게 되었으며, 이에 소요되는 예산 약 150억원은 국방예산에 전액 반영되었다.

그동안 농협은 군 급식 수입쇠고기를 국내산 쇠고기로 급식하여 줄 것을 줄기차게 요구하여 왔다. 2012년에는 축산발전기금을 투입하여 국내산 쇠고기로 대체 급식하였고, 2013~2014년에는 당초 정부예산에 반영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축산발전기금과 국방예산 분담을 최종적으로 이끌어내 한시적이나마 국내산 쇠고기로 대체공급 할 수 있었다.


이에 농협은 국내산 쇠고기 100% 군 급식을 축산업계 숙원과제로 정하고 국회와 정부를 대상으로 전사적 농정활동을 펼쳤다. 그 결과 마침내 2015년부터는 수입쇠고기 기준량 자체를 삭제하고 국내산 쇠고기만으로 군 급식 메뉴를 편성하게 된 것이다.


장병 11일 수입쇠고기 기준량 9g(연간 1,500)을 국내산으로 전면 대체할 경우 연간 약 1만 두의 소비시장이 새로 창출되어 가격 안정과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장병 급식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15년에는 돼지고기는 장병 11인당 60g(연간 9,850)에서 69g으로, 한우갈비는 150g 1회에서 3회로, 오리고기는 150g 9회에서 12회로 급식기준량을 대폭 확대한다.

 

농협은 동시다발적인 FTA 확대로 축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가운데 국내산 축산물 군납 확대는 축산농가에게 커다란 힘이 된다고 밝히고, 군 장병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1229일 전방부대(포천 소재 5군단) 위문 방문을 비롯해 각 군지사, 해병대 등에 위문품을 전달할 계획이다.

한편 농협은 군납 축산물 품질향상을 위해 쇠고기 군납 가공장 건립도 새롭게 추진하고 있으며, 품질보증 활동을 강화하여 더욱 안전하고 위생적인 축산물 공급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