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경영 정보 한자리에!

산림조합, ‘2013 산림경영컨설팅 행사’ 개최

산림경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2013 산림경영컨설팅 행사’가 단풍이 아름다운 고장인 정읍에서 개최된다.

산림조합중앙회(회장 장일환)는 10월 23일, 정읍산림조합 주최로 전북 정읍공설운동장 내 국민체육센터에서 산림조합중앙회 장일환 회장, 김완주 전라북도지사, 유성엽 국회의원, 김생기 정읍시장과 산주와 임업인 등 약 2,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3 산림경영컨설팅’ 행사를 개최한다.

올해로 아홉 번째를 맞는 산림경영컨설팅 행사는 산을 가꾸는 데 관심은 있지만 도시에 거주하거나 직접 산을 가꾸기 어려운 산주와 임업인,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산림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자발적인 산림경영 참여를 유도하고 사유림 경영 활성화를 도모하는 場으로 마련되었다.

특히 산림조합중앙회와 산림청 소속 임업전문가 및 특화품목지도원들이 직접 참여하여 대리경영 · 산림경영계획 등 산림경영과 조경수 ·수실류 등 임산물 생산에 대한 각종 지원사항을 상담해 준다.

또한 전시장에는 부스를 마련하여 임업기계 · 장비 및 지역특산임산물 전시, 목재가공품 전시, 산림문화작품 전시, 임산물요리 시식 등도 마련 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더불어 등산으로 세 가지 암을 극복한 사나이 최윤호씨의 특별강연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산림경영을 하고 있는 임업인들의 실제 사례발표를 통하여 산림에서 더 많은 소득을 얻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산림조합중앙회 장일환 회장은 축사에서 “산림조합은 그동안 침체되어온 사유림경영을 활성화 하기 위해 산림경영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산주와 임업인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산림경영컨설팅체계를 개편하여 활성화 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 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