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닭·오리고기 소비촉진 공모전’

농촌진흥청, ‘헬스바’, ‘저온진공 조리법’ 등 아이디어 풍성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닭 · 오리고기 소비 촉진을 위한 아이디어 8점을 선정했다.

제품 개발 61건, 품질 개선 63건, 조리법 19건 등 모두 143개의 아이디어 중 최우수상 1점, 우수상 2점, 장려상 5점을 선정했다. 이번 공모전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소비를 늘리고 축산연구개발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 지난 9월 1일부터 11월 6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최우수상은 김현진 씨의 <닭 가슴살, 오리 가슴살을 이용한 ‘헬스바’, ‘다이어트바’>가 뽑혔다. 고단백질 식품인 가슴살과 열량이 낮은 우뭇가사리를 이용해 운동이나 체중 조절 시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막대 형태로 만든 과자를 제안했다. 조리 없이 바로 먹을 수 있고 가지고 다니기도 편해 늘어나는 건강식품 수요를 충족해 수입 단백질 보충식품 대체 효과도 기대된다.


우수상은 2점이다. 임나래 씨는 <더하는 맛, 빼먹는 재미 ‘치킨 온 어 스틱(chicken on a stick)’>을 제안했다. 버섯과 양파, 떡 등 여러 재료를 닭꼬치구이 묶음으로 구성해 소비자가 덜 좋아하는 부위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이끈다는 의견이다.


이민재 씨는 진공 용기 안에 소금과 후추, 허브를 곁들여 조리하는 <‘Sous Vide Chicken Ham(수 비드 치킨 햄)’의 제품화>를 제안했다.

 

수 비드는 진공상태로 저온(40℃∼50℃)의 물속에서 장시간 조리하는 프랑스 조리법이다.장려상은 ‘반 마리 포장 판매’, ‘닭 · 오리 특징물과 홍보 노래 제작’, ‘지역 식재료 판매’, ‘이력 관리 제도와 응용프로그램 개발’, ‘중소육가공업체와 소규모 농장 홍보’ 등 5점을 선정했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