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협중앙회 고위직 인사 단행, 상무급 및 각 지역본부장 등

교육지원 채원봉 ▲ 교육지원 강석률 ▲ 농업경제 김원석 ▲ 농업경제 김병문 ▲농업경제 김창수 ▲ 축산경제 남인식 ▲ 상호금융 하승봉

농협중앙회(회장 최원병/사진)는 지난 15일 중앙회소속 상무급 집행간부와 각 지역본부장들에 대한 고위직 인사를 단행했다. 다음은 내년 1월1일자로 인사발령이 난 명단이다.    


◈농협중앙회(2015년 1월1일자)

<상무 임용>

▲ 교육지원 채원봉 ▲ 교육지원 강석률 ▲ 농업경제 김원석 ▲ 농업경제 김병문 ▲농업경제 김창수 ▲ 축산경제 남인식 ▲ 상호금융 하승봉

 

<각 지역본부장>

▲ 경기지역본부 오경석 ▲ 강원지역본부 조완규 ▲ 충남지역본부 조권형 ▲ 전북지역본부 박태석 ▲ 전남지역본부 강남경 ▲ 경북지역본부 최규동 ▲ 대구지역본부 안홍기 ▲ 인천지역본부 최인태 ▲ 대전지역본부 박송현 ▲ 울산지역본부 김재철 <8면에 이어서> kenews.co.kr

 

◈농협경제지주

▲ 상무 박종수

 

◈농협금융지주

▲ 상무대우 오병관

 

◈NH농협생명보험

▲ 부사장 이윤배 XML

 

◈NH농협은행

<부행장>

▲ 허식 ▲ 박석모 ▲ 조재록 ▲ 윤동기 ▲ 김호민

<영업본부장/부행장보>

▲ 경기영업본부 이대훈 ▲ 강원영업본부 김건영 ▲ 충북영업본부 김태진 ▲ 충남영업본부 이강신 ▲ 전북영업본부 소성모 ▲ 전남영업본부 이인기 ▲ 경남영업본부 김형열 ▲ 제주영업본부 전정택 ▲ 서울영업본부 문점규 ▲ 대구영업본부 이탁구 ▲ 대전영업본부 안병서 ▲ 울산영업본부 김상국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