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육우산업 발전 위해 농민들 모였다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 2014년도 사업설명회 개최육우자조금 위원회 및 농민 약 60여명 모여 육우산업 발전 위한 토론 펼쳐


‘우리땅에서 자란 우리소, 우리육우’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최현주)는 육우산업 발전 도모를 위한‘2014년도 육우자조금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최근 이틀간 충남 예산에서 열린 사업설명회에서는 2014년도 육우자조금 거출현황과 활동 현황 및 성과를 위원회와 농민들에게 보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추진방향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됐다.
육우자조금 최현주 위원장은 "올 한해는 육우의 대중 친밀도를 높이고 인식개선 향상을 위해 요리경연대회, 육우페스티벌 구이데이 등과 같은 소비자 스킨십 마케팅, 언론과 온라인 홍보를 통한 신뢰도 제고와 입소문 마케팅에 주력했다. 또한 농가를 대상으로 육우식육처리 가공기술교육, 송아지입식 지원사업 등 육우산업 발전을 위한 노력에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최 위원장은 “2014년 3월 출범했음에도 불구하고 9월 기준 91.15%라는 높은 거출율을 기록하는 등 농가의 전폭적인 지지 아래 활동하고 있는 만큼 이번 육우자조금 사업설명회에서 나온 농가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내년도 육우자조금 활동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라이브뉴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