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원유가격 연동제, 이대로 좋은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토론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이덕승) 물가감시센터는 원유가격연동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합리적인 연동제 및 원유가격 결정 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10월 21일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개최했다.
원유가격연동제는 생산자, 유가공업체의 갈등을 종식하고 낙농가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생산비 보전을 목적으로 2013년 8월 전격 시행되었다. 그러나 생산비를 보전하기 위한 취지와 달리 제조비용, 유통비용까지 동반 인상시키는 부작용을 발생시켰고, 이는 우유의 불합리한 가격인상과 연결되어 소비자 부담과 직결되었을 뿐만 아니라 우유를 원료로 하는 다른 식품가격까지 상승시켜 물가 도미노 인상을 야기하였다.
연동제를 개선한다는 취지에서 누적연동제가 도입되어 올해는 원유가격이 동결되었으나, 연동제 개선 방안 결정에 소비자의 의사가 배제되는 등 올해도 여전히 원유가격연동제에 대한 소비자 문제는 계속되고 있다. 이에 토론회는 소비자를 비롯하여 원유가격연동제를 둘러싼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합리적인 연동제 운영 및 원유가격 결정방안에 대해 각 주체의 입장을 확인하고 논의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시간으로 마련코자 한다.
노경상 한국축산경제연구원 원장의 사회로 △ ‘합리적인 원유·유제품 가격 조정 방안’(건국대학교 김민경 교수), △ ‘원유가격연동제 도입 및 개선’(낙농진흥회 박순 부장)의 주제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며, 발표에 이어 한국낙농육우협회 홍순철 부회장, 한국유가공협회 박상도 국장, 롯데마트 계기영 팀장,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김연화 위원장, 낙농정책연구소 조석진 소장, 농림축산식품부 우만수 사무관 등이 참여하여 토론이 진행됐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