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김장채소류 안전성 특별조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11월 28일까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김대근)은 김장철을 맞이하여 10월 27일 부터 11월 28일까지 김장용 채소류의 안전관리를 위한 특별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조사는 김장철 소비가 집중되는 배추, 무, 조미 채소류의 잔류 농약 안전성 조사를 선제적으로 실시하여 소비자가 우리 농산물을 믿고 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된다.  이를 위해 전국적 주산단지 생산농가 및 전통시장 등 유통·판매처에서 단계별로 1,000여 건의 시료 채취 등 현장조사 후 정밀 분석을 실시한다.
잔류농약이 허용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된 부적합 농산물은 폐기, 출하연기 등의 조치를 통해 시중 유통을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며, 부적합품 생산농가는 원인 진단 및 농약 안전사용 교육 등을 실시하고, 다음연도 안전성 조사 대상에 우선 편입하 는 등 사후관리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또한, 농관원은 최근 농산물 오염사고 및 환경오염 등 위해 요소로 농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 불안감이 증가함에 따라 잔류농약 분석과 더불어 중금속, 곰팡이 독소, 병원성 미생물까지 분석범위를 확대하여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방사능 등 신종 유해요소와 생산환경(농지, 자재 용수)의 오염에 대해서도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