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G마켓이 간다’…지역특산물 직거래 캠페인, 생산자와 지자체가 보증하고 G마켓이 검증

전주 훈제오리, 신안 새우, 해남 고구마 등부터 시작해 점차 확대

 오픈마켓 G마켓(대표이사 변광윤)이 지방자치단체와 연계, 검증된 안전 먹거리를 산지 생산자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연결해 주는 ‘G마켓이 간다캠페인을 실시한다.

915일부터 21일까지 실시하는 이 캠페인은 지자체가 보증하는 지역특산물을 G마켓이 산지에서 직접 검증하고 생산, 가공, 유통까지 확인하여 소비자에게 바로 연결하여 착한 가격에 안전한 상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번 ‘G마켓이 간다에서는 G마켓 신선식품팀 담당자가 직접 전주 훈제오리, 신안 새우, 해남 고구마 산지를 방문하여 진행하며, 생산자에게는 합리적인 대가를, 소비자에게는 착한 가격에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실시한다.

전라북도경제통상진흥원 조정락 팀장은 실제로 전라북도에서 인증된 업체의 먹거리를 G마켓이 직접 검증을 하고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안심하고 구매하실 수 있다고 말했다.

전라남도 식품유통과 최청산 사무관은 “‘G마켓이 간다를 통해 판로개척과 유통구조 개선을 이룸으로써 전라남도 친환경 안전먹거리들을 생산자 소비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가격으로 믿고 구매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배추의 경우 생산자가 292.4원에 출하하면 소비자는 1400원에 구매하는 유통구조로 인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피해를 보고 있다.

하지만 농산물의 경우 생산자가 단독으로 홍보하거나 인터넷 직거래 등 인프라를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더욱이 농촌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기존의 유통구조를 벗어나기 매우 어렵다.

전국 230여개 시군구 지역 브랜드가 있지만 활성화 미비로 대다수의 지역 특산품 홍보 및 브랜딩에 실패, 직거래 등 판로 다양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오죽하면 농림축산식품부가 조사한 농업정책 버킷리스트’(희망사항) 1~3위가 새로운 직거래 모델, 유통단계 축소, 생산자 및 소비자 부담 축소 등으로 나타날 정도다.

G마켓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 앞으로도 더욱 안전하고 신선한 먹거리를 모든 국민들이 믿고 먹을 수 있도록 지자체와의 꾸준한 협의 및 직거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G마켓 신선식품 박영근 팀장은 앞으로 ‘G마켓이간다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더욱 기여하고 안전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믿음과 신뢰를 얻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