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벼 콤바인으로 조·기장 수확

기존보다 수확·탈곡 시간 90% 줄여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기계화율이 낮아 일손이 많이 필요한 조와 기장을 콤바인으로 수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 일반 농가에서는 조와 기장을 사람이 거둬들여 낟알을 털고 자연바람으로 정선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콤바인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조와 기장은 씨알 크기가 1.4mm1.6mm로 매우 작고 가벼워 알곡 손실이 많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벼 콤바인에 탈곡망을 덧대고 조작 방법을 조와 기장에 맞게 바꿔주는 방법으로 수확-탈곡을 한 번에 할 수 있다. 먼저, 기존 벼 콤바인에 장착돼 있는 탈곡 정선망 위에 직경 6mm 크기의 촘촘한 그물모양의 탈곡망을 덧댄다. 탈곡드럼의 회전 속도는 보리 수확에 고정하고 회전 속도를 벼의 2/3 수준인 약 850/분으로 조정한다. 배진량은 적게에 고정하고 송풍바람의 세기는 ’(2.40 m/)으로 하면 낟알이 흩날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시험 결과, 개발된 콤바인 조작 방법을 따르면 수확·탈곡 시간을 약 10a20시간(90%) 정도 줄일 수 있었다. 개발한 콤바인 수확 방법은 기존 콤바인에 비해 약 36% 이상 알곡이 떨어지는 비율이 좋아 재탈곡과 추가 정선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조와 기장은 수확 시기에 따라 알곡이 떨어지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적정 수확시기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 조는 너무 일찍 수확하면 알곡이 잘 떨리지 않으므로 완전히 익은 후에 수확한다. 기장은 이삭이 익을 때까지 기다리면 먼저 성숙한 이삭은 쉽게 떨어져 손실이 많으므로 약 70% 정도 익으면 수확해야 한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