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청, 내년 예산안 1조 9,325억원 편성

임업인과 국민이 숲을 일터, 쉼터, 삶터로 활용토록 뒷받침

산림청(청장 신원섭)은 2015년도 예산안을 올해보다 3.6% 증가한 1조 9,325억 원으로 편성했다.<본지 9월 15일자 1면 참조>

분야별로 산림탄소흡수원 확대와 임업경영의 근본이 되는 산림자원육성에 31%인 5,985억 원, 임산업 경쟁력 강화와 산림교육ㆍ복지서비스 확충을 위한 산림자원이용에 24%인 4,632억 원, 산림재해방지와 생태계보전을 위한 산림자원보호에 30%인 5,790억 원, 산림과학기술개발 4.0%(769억 원), 국립자연휴양림기반조성 2.3%(441억 원), 해외자원협력에 1.2%(240억 원), 산림행정지원에 7.6%인 1,468억 원을 편성했다. 산림청 김영철 기획재정담당관은 “2015년 산림청 예산안은 ‘산림자원관리-임산업발전-산림서비스증진-생태계보전’ 분야가 서로 선순환을 이루는데 초점을 맞추었다.”면서 “내년 예산안이 세수부족 등 어려운 재정여건 아래 편성된 만큼 임업인과 국민에게 숲이 일터, 쉼터, 삶터가 되도록 재정 집행을 빈틈없이 하겠다.”라고 밝혔다. 라이브뉴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