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가소득 높여줄 ‘3모작’ 재배기술 ‘관심’

남부지역 삼모작(벼+시금치+감자) 현장평가회 열어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9월 30일 경남 하동군에서 삼모작(벼+시금치+감자) 현장평가회를 연다. 이번 평가회는 국립식량과학원과 관계관, 농업인 등 50여 명이 남부 지역의 삼모작 재배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됐다.

평가회는 지난 6월 이앙한 벼의 자라는 상황을 살펴보고 삼모작 재배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토론회로 진행한다.

농촌진흥청은 남부 지역 벼 재배 농가의 소득을 높이기 위해 삼모작이 가능한 100일 안에 수확하는 벼 ‘밀양255호(중모1032)’를 지난해 개발했다.

이어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하동군 농업기술센터와 함께 현장 실증 연구를 통해 ‘감자 파종(2월 하순) → 벼 이앙(6월 중순) → 시금치 파종(10월 초순)’ 재배 기술을 개발했다.

벼+시금치+감자 3모작 재배는 소득 작물과 벼를 번갈아 재배해 작물 간 파종 시기와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어 농가의 소득을 높이고 이어짓기에 의한 피해도 막을 수 있다.

농가 실증 평가 결과, 10a당 벼 재배로 51만 원, 시금치 84만 원, 봄감자 198만 원으로 333만 원의 소득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하는 이모작(벼+마늘) 수익 270만 원 보다 23% 높은 수준이다.

촌진흥청 신소재개발과 남민희 과장은 “벼와 소득 작물을 이어 재배하는 삼모작을 통해 쌀 재배 농가의 경영 불안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 라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