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가소득 높여줄 ‘3모작’ 재배기술 ‘관심’

남부지역 삼모작(벼+시금치+감자) 현장평가회 열어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9월 30일 경남 하동군에서 삼모작(벼+시금치+감자) 현장평가회를 연다. 이번 평가회는 국립식량과학원과 관계관, 농업인 등 50여 명이 남부 지역의 삼모작 재배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됐다.

평가회는 지난 6월 이앙한 벼의 자라는 상황을 살펴보고 삼모작 재배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토론회로 진행한다.

농촌진흥청은 남부 지역 벼 재배 농가의 소득을 높이기 위해 삼모작이 가능한 100일 안에 수확하는 벼 ‘밀양255호(중모1032)’를 지난해 개발했다.

이어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하동군 농업기술센터와 함께 현장 실증 연구를 통해 ‘감자 파종(2월 하순) → 벼 이앙(6월 중순) → 시금치 파종(10월 초순)’ 재배 기술을 개발했다.

벼+시금치+감자 3모작 재배는 소득 작물과 벼를 번갈아 재배해 작물 간 파종 시기와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어 농가의 소득을 높이고 이어짓기에 의한 피해도 막을 수 있다.

농가 실증 평가 결과, 10a당 벼 재배로 51만 원, 시금치 84만 원, 봄감자 198만 원으로 333만 원의 소득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하는 이모작(벼+마늘) 수익 270만 원 보다 23% 높은 수준이다.

촌진흥청 신소재개발과 남민희 과장은 “벼와 소득 작물을 이어 재배하는 삼모작을 통해 쌀 재배 농가의 경영 불안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 라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