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내년 8월 동북아푸드시스템에 대해

제11회 동북아 농촌발전 심포지엄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연구원)은 부산대학교, 전북대학교와 공동으로최근 연구원실에서 ‘제11회 동북아 농업농촌발전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최세균 원장은 “쌀 관세화가 논의되고 있는 한국은 이미 쌀 관세화로 전환한 일본과 중국의 경험과 전망에 대해 논의하는 장이 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제12회 심포지엄은 2015년 8월, 일본 동경농업대학의 주최로 “글로벌화와 동북아 푸드시스템의 새로운 전개와 과제”라는 주제로 개최될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