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양삼' 부정유통 뿌리 뽑아야, 이종배 의원, 신고제 정착을 위한 지원 확대

TV 홈쇼핑․온라인마켓 통해 불량 산양삼 22억원어치 판매한 일당 검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이종배 의원(새누리당, 충북 충주)이 산림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최근 3년간(‘12~’14.8) 산양삼 부정·불법유통 적발은 136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년에 36건, ’13년에 49건, ‘14.8월 기준 51건으로, 특히 최근 검사 미필에도 합격증 복사 사용, 허위 광고 등에 따른 고발조치가 ’13년 4건에서 ‘14년 8월 12건으로 급증했다.

산양삼은 산지에서 차광막 등 인공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생산되는 삼으로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생산적합성조사에서부터 품질검사에 이르기까지 잔류농약 등 안전성에 대한 철저한 품질관리를 거쳐 합격증을 부착한 뒤 유통하도록 지정된 특별관리임산물이다.

지난 ’11.7월 산양삼 신고제도를 도입한 후 신고된 전국 산양삼 생산 농가 수는 ‘13년 말 기준 2,131곳이다. 하지만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에서 음성적으로 재배한 뒤 지인들에게만 팔거나, 고가인 만큼 절도의 표적을 피하기 위해 또는 검사비 부담 등 여러 이유로 인해 신고를 잘 하지 않음에 따라 실제 산양삼 생산 농가 수는 신고된 숫자의 두 배에 달할 것으로 산림청 관계자는 추정하고 있다. 이렇듯 관련법이 최근 시행 돼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낮고 산양삼에 대한 진위 식별이 쉽지 않다는 점을 악용해 저가의 불량 산양삼이 대량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품을 구입하기 전 반드시 품질검사 합격증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종배 의원은 “한중 FTA를 대비해 중국산 혼입을 막기 위해선 신고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어야 한다”며, “신고시 생산적합성 조사비 및 품질검사 비용 제공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의원은 “산양삼 불법 유통에 대한 단속을 강화해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라이브뉴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