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박람회 다양한 이벤트!

국립휴양림, 맞춤형 특화 산림교육 푸름 프로그램 등 선보여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서경덕)는 지난 8월1일부터 5일까지 강원도 화천에서 개최된 ‘2014년 대한민국 산림박람회’에서 국립자연휴양림의 맞춤형 특화 산림교육프로그램을 선보이고 14,000여명의 관람객들에게 보급하였다.

 

국립휴양림은 언제나 푸름(PLUM)”이라는 주제로 참가한 이번 박람회에서 휴양림의 특화 산림교육프로그램인 푸름(PLUM) 산림교육프로그램과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공식프로젝트를 대형 나무도감 체험, 향기ㆍ촉감 키트체험, 힐링ㆍ에듀 다트게임 등을 통해 놀이와 병행하여 체험할 수 있게 하여 가족단위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받았다.

 

또한, 산음자연휴양림의 스트레스 자가측정 및 교육교재인 개구리 알을 활용한 향기치유 방향제 만들기, 중미산휴양림의 알쏭달쏭 산(山)퍼즐 체험을 통해 휴양림의 산림문화ㆍ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도 강화했다.

 

서경덕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이번 산림박람회를 통해 본격적으로 선보인 국립휴양림의 특화된 산림문화ㆍ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휴양 자원을 활용한 공익가치 창출과 창의적이고 경쟁력 있는 맞춤형 휴양서비스 제공이 보다 활성화 되고 휴양림이 교육의 장으로 보다 활발히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국립자연휴양림 산림문화교육프로그램 이용자는 매년 13%내외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난 한 해 동안 98천명이 참여했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