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서해안 지역, 애멸구 발생!

김포, 태안, 서천 수백 마리 잡혀…모판 약제 처리 등 대비 철저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최근 4일간 애멸구를 포집한 결과, 경기와 충남, 전북, 전남 등 14개 서해안 지역에서 발견돼 피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시·군별 채집마리수를 보면 김포 720, 화성 13, 태안 454, 서천 359, 당진 202, 보령 134, 서산 66, 홍성 59, 군산 227, 부안 75, 익산 58, 신안 349, 영광 178, 진도 19 등 2,913마리이다.

이는 거의 같은 기간에 채집한 2012년 796마리, 2013년 10마리와 비교해 급격히 증가한 수치다. 또한 벼줄무늬잎마름병으로 큰 피해를 입었던 2011년 채집마리수(3,355마리)의 87% 수준이며, 2011년보다 날아온 시기는 6일 이상 빠른 것이다.

중국에서 날아온 애멸구는 벼줄무늬잎마름병과 검은줄오갈병을 옮기기 때문에 벼가 말라 죽거나 이삭이 기형적으로 패면서 수확량도 크게 떨어지게 된다. 벼줄무늬잎마름병은 2007부터 2009년까지 충남 서천과 보령, 전북 부안과 김제, 전남 해남과 진도 등 서해안에 많은 피해를 끼쳤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 모를 심는 시기에는 모판에 반드시 애멸구 방제 약제 처리를 해야 한다.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김기수 지도관은 “약제 처리를 하지 않고 모를 심은 논에서 애멸구가 발생하면 기름약(유제), 물풀이약(수화제) 등을 반드시 뿌려야 한다.”라며, “애멸구 방제를 위해 논은 물론, 논둑과 제방, 용수로나 배수로 주변까지 살충제를 고루 뿌려야한다.”라고 당부했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업위,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 설명회’... 5월 30일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어업위, 위원장 장태평)는 5월 30일 14시, 서울LW컨벤션(서울역점)에서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지자체 및 관련기관 담당자, 지역주민이 참여할 수 있으며, 농산어촌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효성 있는 디자인 공모전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농어업위 농어촌분과위원인 서울대학교 손용훈 교수의 진행으로 농산어촌 디자인의 기본 개념과 필요성, 가이드라인, 우수 사례 등을 소개한다. 지자체가 이를 실제 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향후 공모전 참여와 지역 간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산어촌 공간 조성을 유도할 예정이다. 이어, 2025년 농산어촌 디자인 공모전의 참여 절차와 심사 기준, 사례 적용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참석자들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실질적인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공모전 신청접수는 6월 10일부터 7월 21일까지이며, 농산어촌다움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농산어촌 디자인 우수사례 총 10점을 선발하여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장상을 수여한다. 농어업위 장태평 위원장은 “농산어촌 디자인은 단순한 경관 개선을 넘어, 주민의 삶의 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