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박주현 의원, ‘학생 아침급식 확대 방안’ 토론회

아침 결식률 감소·쌀 소비 연계 논의
아침급식 확대 통한 학생 식습관 개선…쌀 소비촉진·쌀 재고 문제 해결 대안

우리나라의 초등학생 아침식사 결식률 10%, 중·고생의 아침식사 결식률 34.6%로 나타났다. 아침식사 결식은 학생들의 성장기 영양 장애, 학습능력 저하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침급식을 통한 결식률 감소, 쌀 재고 문제 해결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다.

민주평화당에서 활동하고 있는 박주현 의원은 학생들의 아침급식 제공을 통한 식습관 개선으로 급식률 제고와 쌀 소비 확대를 연계하여 쌀 소비량 감소에 따른 쌀 재고량 증가와 보관비용 증가, 농가소득 감소문제를 해결하고자 ‘학생 아침급식 확대 방안’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 날 토론회는 농림축산식품부 이개호 장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신명식 원장의 인사말과 민주평화당 정동영대표,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황민영 상임대표의 축사로 개최되며, 이어 좌장으로 박주현의원, 주제 발표는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정해랑 정책위원, 패널로는 카톨릭대 식품영양학과 송윤주교수, 경기도 친환경농업과 이완석팀장, 전 서울 영양교사회 회장 김옥자 영양교사, 경기 군포 한얼초등학교 김기영 교장, 농식품부 식량산업과 김정주 과장,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과 조명연 과장이 참여한다.

 

박주현 의원은 농식품부 이개호 장관 인사청문회, 국정감사, 상임위 결산 등 회의 시마다 쌀 생산조절 보다는 학생 아침급식 확대를 통한 쌀 소비촉진이 국민건강 보호, 농가소득 안정, 논의 생태적 가치보존, 쌀 보관비용 절감과 연계할 수 있다는 주장을 계속해 왔다.

박주현 의원은 “농정원 조사결과 초중고 학생에게 다양한 쌀 가공식품을 급식과 간식으로 제공한 결과 쌀에 대한 인지도와 섭취빈도, 섭취의향이 향상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쌀 중심의 식습관이 ′15년 11만4천명에서 ′18년 13만 1천명으로 1만7천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아침급식 확대로 초중고생의 아침식사 결식률을 감소시키고, 쌀 소비량을 증가시킨다면 청소년기 건강과 농가소득 안정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 의원은 “정부의 농정에 있어서 쌀 공급 억제가 아닌, 쌀 소비 확대를 목표로 설정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국민건강과 논의 생태적 보존, 농가소득 양극화 해소가 가능할 것이다.”라며, “일본에서도 밀의 10%를 쌀로 대체하자는 R10 운동이 있듯이, 우리나라에서도 대대적으로 쌀 소비촉진 운동이 일어나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한편, 우리나라 국민들의 식습관이 빵, 라면 등으로 변함에 따라 1인당 쌀 소비량은 지난 1970년 136.4㎏에서 2018년 61.0㎏으로 약 55%가 급감하면서, 쌀 재고증가에 따른 쌀 공급과잉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정부양곡 보관비용도 2017년 5,000억 원에 달하고 있다. 나하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정원, ‘천원의 아침밥’... 나만의 조리법 아이디어 발굴!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은 대학생 먹거리 트렌드를 반영한 짧은 영상 콘텐츠를 통해, 쌀을 활용한 천원의 아침밥 우수 식단을 발굴하고자 2025년 천원의 아침밥 ‘아주 라이스’ 우수 조리법 레시피 영상 공모전을 개최한다. ‘천원의 아침밥’ 사업은 2017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정원이 함께 추진해온 정책으로, 쌀 소비 촉진과 20~30대의 높은 아침 결식률 개선, 건강한 쌀 중심 아침 식사 습관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사업은 정부가 1인 1식당 2,000원을 지원하고, 지자체와 대학이 일부 비용을 분담하여 대학생들이 아침 식사를 1,000원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업으로, 현재 전국 201개교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천원의 아침밥 사업의 식단을 보다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방식으로 보급·확산하기 위해 이번 우수 조리법(레시피) 영상 공모전이 기획되었다. 공모전 접수는 7월 7일부터 7월 31일까지 진행되며, ‘오늘을 여는 아침 밥상’을 주제로 일반식 또는 간편식 조리법을 짧은 영상 형태로 신청받는다. 작년까지는 참여대학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올해부터는 새정부 정책에 따라 사업 확대를 위해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공모전을 진행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