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農食品 수출 대도약 원년!...농협 農食品 수출 어떻게 늘려 갈 것인가? (1)

수출 잘하는 농협...국내시장 판매도 잘해!

 

◈수출전문 공선출하회

수출전문 공선출하회를 육성시켜 나간다. 대상품목은 파프리카, 단감, 감귤, 배, 메론, 딸기, 토마토, 화훼류, 버섯 등 품목별로 200개 육성 목표를 두고 있다. 수출 전업농 육성은 3,000농가를 목표로 수출공선출하조직 및 수출연합사업과 연계하여 수직계열화 사업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수출전략품목에 대해서 손실부분에 대해 농협중앙회 지원을 그동안 8개농협 4.2억원에서 올해는 20개농협 10억원으로 확대시켜 나간다.

수출손실 세부보전해주는 실천적인 방법에서 운영 품목은 수출시장 확대 가능성이 있으나 국내 시장가격 변동이 커 안정적 물량공급이 우려되는 신선농식품 품목이다.

수출시장 확대를 위해 전략적 가격안정이 필요한 가공품목도 이에 해당된다. 손실보전 대상범위는 수출농협 손실발생 금액의 80% 범위에서 해주고 손실보전 방법은 수출농협 별 1억 5천만원 한도내에서 운영하고 총 손실액의 20%는 수출농협에서 부담하는 수출연합 참여조합 중심으로 활용한다. 손실보전 대상조합은 향후 5년간 균등 유통손실보전금에서 충당한다.

 

◈수출 공동브랜드

수출공동브랜드 육성을 위해서는 전국단위 연합품목으로는 장미와 파프리카, 배, 인삼으로 육성시키고, 지역단위 연합품목은 단감(경남), 감귤(제주), 밤(경남, 충남)을 대상으로 공동브랜드를 만들어 간다.

수출연합조직에 대한 지원 방안은 수출연합 공동브랜드 육성자금 신규지원 생산 및 마케팅관련 자금 300억원(무이자)을 지원하고 수출연합조직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 수출 공선출하회 조직화 및 상품화 지원이 이뤄진다. 수출연합조직 공동브랜드 활용되도록 수출연합 공동브랜드‘K-시리즈’를 늘려 간다.

 

◈신선농식품 수출확대

가공식품으로 수출영역 확대를 통한 4억$ 수출목표 달성 견인을 위해 주요 전략품목을 육성해 나간다.

유제품은 서울우유 협동조합과 연계하는 등 유제품의 수출상품 개발을 적극 유도해 나가고 음료는“韓國農協”브랜드 마케팅을 통해 감귤, 쌀, 사과, 배, 알로에, 유자차 등“한국산”원료임을 강조 시킨다. 홍삼은 중국 홈쇼핑 등 대중 마케팅도 높인다.

가공식품 수출상품 개발협의회는 농협중앙회, 농협식품연구원, NH무역, 수출농협 공동으로 참여해 운 영 상품개발협의를 정례화해 나간다.

 

수출농협 1억$ 추가 달성

1백만$ 이상 수출농협 육성을 목표로 한다.

수출 선도농협 수출활성화를 위한 자금지원을 2천억원으로 지난해보다 배 이상 늘리고 자금용도는 안정적 공급물량 확보를 위한 매취자금, 대농가 선급금, 수출연합사업 추진을 위한 수출농가 지원 및 수출상품화 비용, 지자체 등 외부기관과의 매칭펀드 조성 사업자금, 국산원료 사용 가공제품에 대한 물류비용이 그 용도로 쓰인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