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수경재배 노하우?...‘묘삼’ 저장법 개발!

기존 3~4개월에서 최소 7~12개월 이상 장기저장 가능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수경재배 인삼을 연중 생산하기 위해 건강한 묘삼이 항상 필요한데 이 묘삼을 장기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최근 들어 고려인삼은 약용으로서 4∼6년근뿐만 아니라 그 활용가치가 더욱 높아져 시설 내 수경재배 인삼이 쌈채소나 화장품 원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 수경인삼 재배를 위해 묘삼이 필요한데, 기존 저장방법으로는 묘삼자체에 전분이 많아 썩기 쉬워 3∼4개월 정도만 저장돼 장기 저장이 어려웠다.

농촌진흥청 인삼과에서는 부패 방지도 가능하면서 출아율을 높일 수 있는 묘삼 장기 저장방법을 개발해 앞으로 인삼을 연중 생산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게 됐다.

저장방법은 우선 스티로폼 상자를 눕힌 후 입자크기가 1∼3㎜인 마사토(수분함량 60∼80%)를 상자 안에 깔고 묘삼을 수직으로 세워 넣는다. 이때 묘삼의 머리(뇌두) 부분이 스티로폼 상자의 밖을 향하도록 한다. 묘삼을 넣은 윗부분에 다시 마사토와 묘삼을 반복해 까는 방식으로 묘삼을 가득히 채워 넣은 후 스티로폼 상자를 원상태로 놓고 묘삼이 보이지 않도록 마사토로 덮어주면 된다. 마사토는 물 빠짐이 좋고 유기물이 포함돼 있지 않아 균의 서식이 어렵기 때문에 묘삼의 장기저장에 따른 부패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마사토와 묘삼으로 가득 찬 스티로폼 상자는 저장고에서 토양이 어는점 이하로 어는 상태(-2∼-3℃)로 보관하다가 심기 2주 전부터 냉장상태로 온도를 점차 높여줘야 한다. 갑작스런 보관온도 상승은 묘삼조직의 파괴를 가져와 부패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출아율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묘삼을 보관할 경우 최소 7개월∼1년 이상 저장이 가능하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묘삼 장기저장기술을 특허출원했으며 빠르게 보급하기 위해 수경재배 업체에 기술이전을 실시했다.

농촌진흥청 인삼과 장인배 연구사는 “묘삼을 기존에 비해 장기간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인삼을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때에 맞춰 재배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라고 전했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